Adviser

Home>포브스>Adviser

금융사 간판 PB 10인의 ‘요즘 부자들’④ - 현금 깔고 복지부동 

 

염지현 포브스코리아 기자
정부의 세무 압박과 세계 경기 침체로 부자들의 자산 관리에 빨간 불이 들어왔다. 자산가는 유동성 자금 비중을 높이고 시장 상황을 지켜본다.



부자들이 요즘 조용하다. 이유는 두 가지다. 정부의 세무 압박과 자산 가치 하락이다. 최근 세금 부과 기준이 더욱 엄격해진데다 미국 출구 전략 소동 이후 투자할 곳이 없어졌다. PB(Private Banker) 10인 중 6명이 ‘현금 보유’를 제안했다. 마땅한 투자처를 잃은 자산가들의 유동성 자금 비중이 커졌다. 시장상황을 봐가며 천천히 투자 기회를 노려보겠다는 얘기다.

세무 강화는 새정부 출범 이후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다. 연초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준 금액이 4000만원에서 2000만원으로 낮아졌다. 이자와 배당 등 금융소득이 2000만원을 넘으면 원천징수와 별개로 다른 소득과 합산해 6~38%의 누진세율로 소득세를 부과한다. 차명계좌 증여 추정 시기와 방식도 바뀌었다. 차명계좌임을 입증하지 못하면 증여로 추정한다. 차명계좌가 확인된 순간 증여세를 물어야 한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최근 차명계좌가 대기업 오너와 자산가들이 재산 은닉 수단으로 쓰인 점이 부각되면서 ‘차명계좌 금지법’이 제기되고 있다. 해외 계좌 단속도 강화됐다. 내년부터 10억원 넘는 해외 계좌를 신고하지 않으면 과태료를 물어야 한다. 8월 19일 정부는 해외 소득·재산에 대한 정보 파악을 강화하기 위해 해외 금융계좌 신고 제도를 보완하는 방안을 세법 개정안에 담았다. 계좌를 신고하지 않거나 적게 신고할 경우 과태료가 10% 부과된다. 세무당국 요청에도 응하지 않으면 불이행 금액의 10%가 과태료로 추가된다.

원종훈 KB국민은행 세무사는 “세무당국의 세무 조사가 강화되면서 자산가들의 절세 전략에 영향을 주고 있다”며 “상당수가 세금 관련 의사 결정을 미루고 있다”고 얘기했다. 김근호 하나은행 세무팀장도 비슷한 의견이다. 고객의 세무 상담은 여전히 많지만 절세 플랜으로 이어지는 횟수가 줄었다고 덧붙였다. 특히 상속·증여 상담이 줄었다. 세무 압박이 강화되면서 자신도 모르게 누락된 재산이 밝혀져 추가로 세금을 낼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졌기 때문이다.

그동안 부자들은 증여나 상속으로 다이아몬드나 골드바를 사용했다. 귀금속은 증여세가 붙지 않은데다 개인끼리 사고 팔 때도 세금을 내지 않는다. 하지만 최근 국세청이 서울 종로 일대 귀금속 상가에 세무조사를 했다. 자산가들이 귀금속을 통해 소득이나 재산을 숨기는 사례가 많다고 봤기 때문이다. 세무 조사의 강도가 높아질 경우 금을 대량으로 구입한 개인이나 법인의 거래 내역이 나올 수 있다.

투자 발목 잡는 미국 출구전략

투자 시장도 사정이 어렵긴 마찬가지다. 미국 출구전략이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어서다. 그동안 양적완화 축소를 늦춘 복병으로 평가 받던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연방준비제도 목표치에 가까워졌다. 출구전략이 임박했다는 신호다. 미국 노동부는 8월 15일 지난 7월 CPI가 0.2%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시장 예상치에 부합하는 수치로 지난해 동월 대비 CPI 증가률은 2.0%를 기록했다. 이 소식에 미국의 10년물 국채금리는 장중 2.82%까지 치솟았다. 2년 만에 최고치다.


미국의 출구전략은 세계 경제에 영향을 준다. 미국 금리가 오르면 신흥국에 풀린 유동성 자금이 미국으로 몰리기 때문이다. 유진투자증권 보고서에서 8월 7일 기준 신흥국 주식펀드에서 빠져 나간 금액은 모두 약 7억7000만 달러에 이르렀다. 개별 국가로 보면 브라질이 2억3000만 달러로 가장 많다. 우리나라가 1억4000만 달러로 뒤를 잇는다. 인도 8000만 달러, 중국 7000만 달러로 나타났다.

김인응 우리은행 투체어스 잠실센터장은 “채권과 주식이 함께 약세를 보이는 동시에 부동산·원자재 등 모든 자산 가치가 함께 하락하고 있다”고 말했다.

“돈이 있어도 투자할 곳이 없어요. 미국의 출구전략은 미국 경제 회복세를 증명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인 신호라고 할 수 있어요. 다만 외국인 자금 움직임에 민감한 우리 증시에 큰 부담이 될 수 있어요.

채권 시장에서도 금리가 오르면서 채권형 펀드 수익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섰습니다. 부동산 시장은 취득세 감면 연장으로 잠깐 숨통이 트였다가 6월 30일자로 종료되면서 다시 거래가 뚝끊겼습니다.”

강지현 하나은행 영업1부 골드클럽 센터장은 “투자처를 잃은 고객들의 현금 보유 비중이 크게 증가했다”고 말했다. “과거엔 주식이 빠지면 채권이 좋거나 원자재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부동산 수익률이 높을 때도 있었지요. 자산군별로 방향이 다르게 움직였기 때문에 시장 상황에 맞게 투자가 가능했습니다. 한꺼번에 자산 가치가 하락하니 손 쓸 수가 없어요. 고객들은 금리가 낮기 때문에 정기 예금에 돈을 넣어두는 것도 원하지 않습니다.”

변동성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투자 상품으로 절대수익형 펀드와 헤지 펀드가 추천됐다. 절대수익형 펀드는 시장 움직임과 상관없이 꾸준히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롱숏 펀드, 시스템 트레이딩 펀드, 글로벌 전환사채 펀드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롱숏 펀드 인기가 높다. 전체 시장 수탁고는 7700여억원. 최근 3개월 동안 2725억원이 모였다. 이 펀드는 주가가 오를 것 같은 종목은 사고(long), 주가가 내릴 것으로 판단 되는 주식은 미리 팔아서(shot) 차익을 남기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수익을 낼 수 있다.

유정화 삼성증권 SNI호텔신라 지점장은 헤지펀드를 제안했다. “미국 출구전략 우려로 국내 주식시장이 크게 빠졌을 때도 플러스 수익률을 나타냈습니다. 대안상품이 없는 요즘 헤지펀드에 관심을 가져볼만 합니다.” 미국 시장에 주목하는 PB들도 있다.

이진성 한국씨티은행 CPC 강남센터 팀장은 “달러로 미국 주식형펀드에 투자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미국 경기가 바닥을 찍으면서 미국 주식이 빠르게 오르고 있습니다. 기대수익률이 높은 편이에요. 보통은 환율 변동 리스크를 감안해 환헤지를 합니다. 앞으로 달러 가치 상승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달러로 투자하길 권합니다.”

201309호 (2013.08.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