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년 넘게 펀드매니저로 살아온 존 리 메리츠자산운용 대표는 스스로를 주식 투자 전도사라고 부른다. 빨라진 은퇴와 길어진 수명을 준비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식만한 게 없다는 얘기다. 단 여기에는 ‘좋은 주식’과 ‘장기’라는 조건이 붙는다.
“왜 꼭 여의도여야 하죠?” 한국 금융의 메카인 여의도를 떠나 종로구 북촌으로 본사를 옮긴 이유를 묻자 존 리(한국명 이정복, 56) 메리츠자산운용 대표가 대답 대신 반문했다. 으레 금융사의 본사는 여의도에 있어야 한다는 기자의 고정관념이 깨지는 순간이다.이 대표는 공식 취임하기 5개월 전부터 이 일을 추진했다. 그의 이 같은 틀을 벗어나는 행보는 그리 놀랄 일이 아니다. 대학(연세대 경제학과) 2학년 때 문득 “학점을 잘 받아 졸업 후 대기업에 취직하는 길이 최선일까”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한다. 그리고 바로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뉴욕대(NYU) 회계학과를 졸업하고 7년 동안 회계사로 일하던 중 펀드매니저라는 직업에 호기심이 생겼다. 1991년 어느 날 점심을 먹고 같은 건물에 있던 미국 투자회사 스커더인베스트먼트(Scudder Investments, 이하 스커더)에 찾아가 인터뷰를 요청했다. ‘코리아펀드’ 설립자인 니콜라스 브랫과의 첫 만남이었다.이 대표는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잘한 일 중 하나가 바로 스커더를 찾아간 것”이라고 돌이켰다. “경험과 스펙이 없어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없다는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 면접 볼 때 펀드매니저로서의 경험이 없는 게 오히려 장점이 아니냐고 말했습니다. 스커더에서 처음부터 제대로 배우고 싶다고 말이죠. 그리고 한국 사람인만큼 ‘코리아펀드’를 누구보다 잘 운용할 수 있다고 강하게 말했습니다. 그랬더니 브랫이 좋아하더라고요.”이 대표는 6명의 팀원과 함께 ‘코리아펀드’ 운용을 맡았다. 코리아펀드는 한국에는 여러 가지로 의미가 있다. 1984년 7월 만들어진 이 상품은 최초로 한국 투자를 시작한 해외펀드이자 최초의 한국 투자 뮤추얼펀드다. 당시만 해도 신흥시장인 한국에 투자하는 일은 매우 획기적이었다. 국내총생산(GDP) 기준 세계 11위 경제규모인 캐나다에도 투자가 활발하지 않을 때다.이 대표는 스커더의 자유로운 기업문화에 흠뻑 빠져들었다. 같이 일했던 펀드매니저 중에는 축구선수 출신도 있었다. 그는 이 같은 문화를 한국에서 뿌리내리고 싶었다. 바로 지난해 말 지휘봉을 잡은 메리츠자산운용에서다. 펀드수익률이 저조하고 자금 운용 규모도 크지 않았지만 기업 문화를 바꾸면 가능성이 커 보였다. “바닥을 치면 올라온다는 말이 있지 않습니까. 꼴찌를 해봐야 변할 수 있습니다.”임기가 없는 것도 이 대표가 메리츠자산운용을 선택한 이유다. 국내 금융사를 비롯한 기업의 전문경영인은 대부분 2~3년의 임기를 채운다. 임기가 정해져 있으면 기업 문화를 만들기 어렵다. 그는 미국 자산운용사가 고유 문화를 가질 수 있는 건 전문경영인의 임기를 따로 두지 않기 때문이라고 했다.이 대표가 회사를 북촌으로 옮긴 것도 독자적인 기업 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다. “금융사가 즐비한 곳에서 우리만의 문화를 만들기 어렵다”고 그는 말했다. 회사를 옮긴 직후 문화 만들기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메리츠자산운용은 지난해 7월 북촌으로 본사를 옮겼다. |
|
팀장·본부장이라는 직급을 없애고, 대표에게 바로 보고할 수 있는 체계를 갖췄다. 대표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기 위해 방도 다른 방과 크기를 똑같이 맞췄다. 그래서 그의 방에는 그 흔한 소파하나 없다. 회사에서 제공하는 차도 타지 않는다. 퇴근 후에는 종로구 사직동 집까지 30분 정도 걸어 다닌다. 회식도 없앴다. “직원들이 더 많은 시간을 가족과 함께하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이 대표는 말했다. “회사와 직원들이 변하기를 바란다면 나부터 변해야 합니다. 대표로서의 권위를 없앤다고 해놓고 회사차를 타고 다니면 그건 모순입니다.”
책상에 컴퓨터 없는 펀드매니저이 대표는 메리츠자산운용에서 스커더와 같은 자유로운 문화를 만들 수 있다고 자신한다. 그 자신감에는 20년 간 함께 일한 동료들에 대한 믿음도 있다. 스커더에서 코리아펀드를 운용했던 팀원 6명이 메리츠자산운용으로 옮겨왔다. 20년 넘게 호흡 맞췄던 동료들이다. 이들은 스커더 코리아펀드의 성과를 재현하고자 ‘메리츠코리아펀드’를 만들었다. 이 펀드는 지난 4월 25일 기준 연초 이후 3.53%의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이는 같은 기간 국내주식형펀드의 평균 수익률인 -0.84%보다 3배가량 높다. 메리츠자산운용의 운용실적 역시 회복되고 있다. 펀드평가사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국내주식형펀드 운용사의 올해 평균 연초 이후 수익률은 에셋플러스(3.59%)에 이어 메리츠자산운용이 2.67%로 2위를 기록했다. 이 대표가 경영을 맡은 지 5개월만의 성과다.이 대표의 또 다른 목표는 한국 투자시장에 장기투자 문화를 정착시키는 일이다. 한국은 다른 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자 기간이 짧다. 금융투자협회 조사에 따르면 국내 개인투자자들의 평균 주식보유 기간은 1~3개월 미만 32.6%로 가장 많은 반면 일본은 1~5년이 40.8%다. 이렇게 장기투자문화가 정착하지 못하는 데는 미디어의 영향이 크다고 이 대표는 지적했다. “증권 전문가가 나와 오늘의 투자전략을 알려주며 사고팔 종목을 추천하는 증권방송부터 펀드매니저가 자주 바뀌는 현상까지 문제가 많습니다.”코리아펀드 하나를 15년간 운용해온 이 대표로서는 펀드를 운용하는 펀드매니저의 잦은 교체가 이해되지 않는다. 그가 2005년 라자드자산운용으로 자리를 옮길 때까지 코리아펀드의 운용 수익률은 1600%에 달한다.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의 수익률은 3분의 1수준인 500%다.“코리아펀드가 시장대비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었던 건 같은 펀드매니저가 장기투자전략으로 운용한 덕분”이라고 그는 설명했다. “국내에 설정된 일반 주식형펀드의 경우 연간 회전율이 높습니다. 100%는 물론 200~300%가 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하지만 코리아펀드의 회전율은 20% 안팎이었습니다.”회전율은 주식 거래 지표로, 높을수록 매매가 빈번하게 이뤄졌음을 의미한다. 실제로 이 대표가 코리아펀드를 운용하는 동안 투자종목의 평균 보유기간은 7~8년이었다. 투자한 종목의 보유기간이 길다보니 매일 주식 차트를 확인할 필요가 없었다. “스커더에서 일할 때 제 방을 찾아온 기자들이 깜짝 놀랐습니다. 펀드매니저인데 책상에 컴퓨터가 없었거든요. 저는 주가도 신문으로 확인했습니다. 컴퓨터 앞에 앉아서 매일 주식시장을 들여다볼 시간이 어디 있습니까. 하나라도 더 많은 기업을 찾아가서 살펴봐야지.” 이 대표는 자신의 경험을 자사 펀드매니저들에게 전수하고 있다. 컴퓨터 모니터만 들여다보지 말고 직접 발로 뛰라고.요즘 이 대표는 ‘주식투자 전도사’를 자처한다. 은퇴는 빨라지고 평균 수명은 길어진 만큼 반드시 주식투자를 반드시 해야 한다고 강연 등을 통해서 전파한다. “교회에 십일조(十一租) 하듯이 매월 수입의 10%를 주식에 투자해야 합니다. 주식투자의 묘미는 적은 돈으로 시작해 회사의 일부분을 살 수 있다는 데 있습니다. 여윳돈이 생길때마다 특정 회사의 주식을 산다면 그만큼 나의 지분은 올라가게 됩니다. 또한 1년 365일 내내 그 회사의 임직원들이 내가 자는 동안에도 내 재산을 불리기 위해 밤낮으로 일한다고 생각하면 얼마나 뿌듯합니까.”그리고 장기투자는 필수다. 부모로부터 많은 재산을 물려받았거나 고수익의 직업을 갖고 있지 않은 보통의 월급쟁이가 부자가 될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장기적으로 투자한다면 누구나 부자가 될 수 있다는 게 이 대표의 주식 투자론이다. 단 주식에 투자한다는 개념보다는 그 기업의 동업자가 된다는 마음으로 접근해야 한다. 메리츠자산운용은 이 같은 투자 문화 정착에 앞장설 계획이다. “서두르지 않을 겁니다. 우선 메리츠자산운용을 한국에서 가장 일하고 싶은 회사로 만들 겁니다. 그러면 고객이 믿고 찾아올거라고 확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