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알마비바’의 브랜드 앰버서더 안드레스 발레스테로스 - “로쉴드의 블렌딩ㆍ품질에 칠레 천혜의 자연 어우러진 깊은 맛” 

 

글 김태진 포브스코리아 기자·사진 오상민 기자
프랑스 5대 샤또로 유명한 ‘바론 필립 드 로쉴드(이하 로쉴드)’와 칠레 콘차이 토로가 1997년 합작해 내놓은 알마비바는 단숨에 최고급 와인에 이름을 올렸다. 알마비바에는 프랑스 5대 샤또의 노하우가 담긴 깊은 맛과 천혜의 와인 재배지의 보석인 칠레의 떼루아가 그대로 묻어난다.

▎알마비바의 브랜드 앰버서더인 ‘안드레스 발레스테로스’가 새 빈티지를 소개하러 한국을 찾았다
알마비바의 브랜드 앰버서더인 ‘안드레스 발레스테로스’가 지난 4월 5일 금양인터내셔날 초청으로 새 빈티지를 소개하러 한국을 찾았다. 그는 “칠레에서 생산한 건강한 포도를 원료로 로쉴드의 블렌딩 노하우로 숙성한 알마비바는 균형미가 일품인 특급 보르도 스타일”이라며 “다른 칠레 와인이 포도 품종 하나로 맛을 내는 것과는 확연하게 다른 복합미가 특징”이라고 설명한다. 알마비바는 모짜르트의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식’의 주인공 이름이다.

와인은 생산지에 따라 두 가지로 나뉜다. 전통적으로 와인을 만들었던 프랑스·스페인·이탈리아 등 유럽 중심의 구대륙과 미국·칠레·호주·뉴질랜드 등 신대륙 와인이다. 알마비바는 바로 신·구대륙의 조화로 만들어진 명품인 셈이다.

콘차이 토로는 남미 최대의 와이너리다. 1883년 설립돼 칠레 회사 가운데 처음으로 1994년 뉴욕 증시에 상장됐다. 포도밭 면적만 약 1억㎡(3333만 평)으로 세계에서 가장 크다. 지난해 매출액은 10억 달러(약 1조800억원)가 넘었다.

로쉴드는 설명이 더 필요 없는 유럽 와인의 명가다. 이들은 5대 샤또인 무똥 로쉴드에 만족하지 않고 신대륙으로 특급 와인을 찾아 나선다. 먼저 미국 최고의 와인 산지인 캘리포니아 나파 밸리를 눈 여겨 봤다. 1981년 나파 밸리를 대표하는 로버트 몬다비와 합작해 보르도 스타일의 특급 와인 ‘오퍼스 원’을 만들어냈다. 로쉴드의 다음 발걸음은 남미다. 천혜의 자연 조건을 갖춘 칠레가 눈에 들어왔다.

“로쉴드는 좋은 포도를 생산하는 곳이면 어디든지 찾아다닌다. 1996년 이들이 칠레를 방문했다. 콘차이 토로는 칠레 한가운데인 마이포 밸리 고지대에 위치한 푸엔테 알토 지역에 최고의 포도밭을 갖고 있었다. 로쉴드는 단박에 그 밭의 품질을 알아봤다. 알마비바가 탄생한 이력이다.”

로쉴드는 보르도의 토양과 기후가 비슷한 푸엔테 알토 지역에 대만족 했다. 두 회사는 이견 없이 50대50 합작으로 1997년 알마비바를 설립했다. 콘차이 토로는 자신들이 가진 최고의 포도밭을 내놓고, 로쉴드는 숙련된 브렌딩 장인을 칠레로 파견했다. 이어 양조장 내에 채광과 온도ㆍ습도 등을 고려한 최신식 설비를 갖췄다. 합작 다음해 나온 첫 와인부터 전문가들의 호평이 이어졌다. 2001년산은 와인 전문매체인 <와인 스펙테이터>로부터 칠레 와인 역사상 최고인 95점을 받았다. 현재 세계 42개국에서 특급 와인으로 명성을 얻고 있다.

발레스테로스는 알마비바를 이렇게 평가한다. “장기 숙성이 가능한 고급 품종의 매력을 그대로 간직한다. 복합적인 타닌이 입안 전체를 감싸면서 매콤하면서도 스모키한 향과 맛이 적절히 균형을 이룬다. 한 모금 한 모금이 즐겁다. 신선하면서 깔끔한 산미가 전체적인 풍미를 배가시켜 몇 잔이고 마실 수 있게 만든다. 와인을 모르는 사람도 쉽게 빠져든다.” 그는 칠레에서 와인경영학을 전공한 뒤 미국 뉴저지의 럭거스대학에서 경영학석사를 받았다.1998년 콘차이 토로에 수출담당 매니저로 입사했다. 2013년부터 알마비바로 옮겨 판매와 브랜드 전략을 총괄하고 있다.

“칠레는 기후가 따뜻하고 건조해 포도가 잘 익는다. 공해가 거의 없어 농약이나 살충제 사용이 거의 필요가 없다. 와인 재배에 최적의 환경이다. 프랑스만큼 복잡한 규제도 덜하다. 날씨가 건조할 때 포도밭에 인공적으로 물을 주는 관개(灌漑)를 허용한다. 알마비바는 건조한 해에도 관개를 이용해 균일한 품질의 와인을 만들어낸다. 전문가 평가에서 매년 점수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 이유다.”

보르도 그랑 크뤼와 동급 대우


상대적으로 프랑스 보르도 지역은 와인을 만들기 어렵다. 포도밭에 아예 물을 줄 수 없도록 규제한다.

“알마비바는 품질과 프리미엄,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생산량을 늘리지 않는다. 다른 칠레 와인과는 달리 미국을 제외한 전 세계 시장에 보르도 특급 와인을 취급하는 프랑스 네고시앙을 통해 유통한다. 프랑스 그랑 크뤼와 어깨를 나란히 하겠다는 브랜드 전략이다.”

알마비바는 2002년에 18만병까지 생산을 늘렸다. 현재는 14만4000병으로 줄였다. 한국은 약 8000병을 수입한다. 미국·홍콩·일본에 이어 세계 4번 째다. 명절 인기선물로 꼽힐 뿐 아니라 유명 레스토랑과 호텔 와인 리스트에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발레스테로스는 4월부터 한국에 출시한 2012년 빈티지의 알마비바에 대해 이렇게 설명한다.

“2012년은 건조한 날씨 탓에 포도가 일찍 발아해 수확이 10일 정도 빨랐다. 서늘한 기온에서 수확해 건강한 품질의 포도알을 얻었다. 블랙베리와 다크 초콜릿, 향신료의 은은한 향이 어우러진다.”

알마비바는 특급 보르도 와인처럼 까베르네 소비뇽이 뼈대를 이룬다. 여기에 까르메네르, 까베르네 프랑, 메를로 등으로 블렌딩한다. 양조는 보르도 스타일이다. 손으로 수확한 포도는 10kg짜리 작은 바구니에 담아 다시 수작업으로 선별한다. 포도 원액을 추출하기 위해 가볍게 압착한 뒤 발효 탱크를 낮은 쪽에 두고 중력으로 자연스럽게 담아낸다. 이후 새 프랑스산 오크 통에서 10개월의 1차 숙성을 거친다. 추가로 2번 사용한 오크 통에 옮겨 담아 6~9개월 숙성한다. 세계적인 와인 평론가 로버트 파커는 “알마비바를 처음 마셨을 때 보르도의 최고급 와인이라고 생각했는데 칠레산이라 놀라웠다”고 평가하기도 했다.

알마비바의 또 다른 장점은 품질과 맛은 특급이지만 가격이 합리적이라는 데 있다. 보르도 그랑 크뤼나 미국 특급 와인인 오퍼스 원과 비교해보면 절반도 안 된다. 현재 시판 중인 가격은 2010년 43만원, 2011년 45만원, 2012년 43만원(예상)이다.

- 글 김태진 포브스코리아 기자·사진 오상민 기자

201505호 (2015.04.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