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중소기업을 경영하는 대다수 창업자들은 경영에
몰두하느라 가업승계에 대한 준비가 미흡한 경우가 많다.
가업의 소유권과 경영권을 후계자에게 승계하는
가업상속공제제도를 활용하면 최대 500억원을 공제받을 수 있다.
충남 천안시 디와이엠솔루션(이하 디와이엠) 본사에서 박동하(61) 대표를 만났다. 1992년 박 대표가 창업한 디와이엠은 전력케이블과 전선용 소재를 생산한다. 이 제품은 전선 안에 있는 구리·알루미늄 등 금속을 감싸 전류가 균일하게 흐를 수 있도록 돕는 반도전과 외부 충격으로부터 전선을 보호하는 피복의 소재로 쓰인다. 국내 시장점유율은 1위고, 이탈리아·뉴질랜드·인도 등 76개국에 수출한다.
그의 성공전략은 헝그리 정신이다. 창업 당시 박 대표는 포도밭 약 2640m²(800평)을 산 뒤 공장을 세웠다. 돈이 없어서 컨테이너 박스에서 4명의 직원과 먹고 살며 기술을 개발했다. 그는 “열정이 지식을 앞서고, 행동하지 않으면 결과물은 없다”는 말을 자주 한다. 그의 믿음은 2008년 키코(KIKO) 사태를 겪으며 더욱 확고해졌다. 수출 비중이 컸던 회사는 환율이 떨어질 것을 대비해 키코에 가입했다가 1년 만에 약 300억원이 넘는 손실을 입었다. 2008년 매출액의 80%를 날렸다. 박 대표는 원가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키운 뒤 수출을 늘려 갚아나갔다. 나머지 50억원만 남겨뒀을 때 극심한 빚 독촉에 시달렸다. 그때 기회가 찾아왔다. 디와이엠 기술력을 높게 평가한 중동의 한 기업이 420만 달러(50억원)를 투자하면서 키코 그늘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디와이엠은 지난해 ‘7000만불 수출의 탑’을 받는 등 해외 실적이 늘면서 매출은 처음으로 1100억원을 넘어섰다. 박 대표는 이미 회의실 한 쪽에 ‘1억 불 수출의 탑 트로피’를 놓을 자리를 비워 뒀다. 그는 “내년엔 수출이 1억 달러를 넘어설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표의 꿈은 평생의 피와 땀의 결정체인 디와이엠을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기업으로 키우는 것이다. 2014년부터 아들 박창묵(34)씨가 과장으로 입사한 뒤 해외 사업, 생산공장, 연구소 등을 거치며 경영 수업을 받고 있다. 하지만 박 대표는 아무리 아들이라도 경영자로서 자질을 갖출 때 물려줄 생각이다. 박 대표는 “가업승계에 대한 관심은 많지만 회사일로 신경 쓸 여력이 없다”며 “아직까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지 못해 걱정”이라고 말했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