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Cover

Home>포브스>On the Cover

지방의 중견 기업이 휴브리스를 피하는 방법 

 

최영진 기자 cyj73@joongang.co.kr
기업의 경영자는 휴브리스에 빠질 수밖에 없을까. 그렇지 않음을 몸소 보여주고 있는 지역의 중견기업 창업 2세대들이 있어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지난 7월19일 KDB산업은행과 라이트하우스컴바인인베스트와 500억원 규모의 펀드 운영 협약식을 맺었다. 라이트하우스의 최영찬 대표가 펀드 운영에 대한 계획을 밝히고 있다.
2007년 한 언론사는 한때 세계화의 첨병이었던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을 인터뷰했다. 이 인터뷰에서 눈에 띄는 대목이 하나 있다. 당시 인터뷰를 한 이는 대우자동차 세계경영기획팀장과 대우자동차 우크라이나 주재원을 지냈던 김윤 세계경제화포럼 대표였다. 김 대표는 김 회장에게 “주위에선 김 회장께서 오만했다고 한다”고 전했다. 김 회장은 웃으면서 말 없이 고개만 끄덕였다고 묘사했다. 김윤 대표는 김 회장이 조언을 자주 청했던 윤석철 서울대 경영학과 명예교수가 “대우가 패망한 것은 김 회장의 오만 때문이다. 패러다임이 변화했는데 관성적으로 대응한 것이 문제였다”고 지적한 것을 밝히기도 했다.

선보공업 창업주 아들에게 경영수업 대신 액셀러레이터 설립 맡겨

휴브리스(Hubris)는 한국의 대기업을 피해가지 않았다. IMF는 한국 사회에 상식으로 통했던 ‘대마불사’라는 게 헛된 믿음이었음을 보여준 직격탄이었다. 한보철강을 시작으로 대농·해태·쌍용·벽산·나산·동아를 포함해 1999년 재계 2위였던 대우그룹까지 파산하는 것을 지켜봐야만 했다. 이후에도 동양그룹·웅진 같은 대기업의 추락도 이어졌다. 백대균 월드인더스트리얼매니지먼트 연구소 대표는 “포드나 GM 같은 외국 기업의 몰락뿐 아니라 한국의 대기업이 무너진 이유를 분석하면 그룹 총수의 오만 경영이 큰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며 “2014년 대한항공 땅콩회항 사건도 경영자가 오만에 빠졌기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고 덧붙였다.

국내외 대기업 경영자 혹은 오너가 휴브리스에 빠져 기업의 위기를 만들어낸 예는 많다. 그렇다면 모든 기업 경영자는 휴브리스에 빠질 수밖에 없을까. 그렇지 않음을 보여주는 이들이 있다. 부산·울산 지역의 중견기업 창업주와 2세들이 그 주인공이다.

그 시작은 선보엔젤파트너스라는 액셀러레이터의 설립이었다. 지난해 3월 부산을 대표하는 중견기업 선보공업 최금식 회장과 유학을 다녀온 아들 영찬 씨는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아버지와 아들이 의논한 결과다. 최영찬 선보엔젤파트너스 대표는 “지역에 기반을 둔 중견기업들은 대부분 상황이 좋지 않은데, 그렇다고 기업에 혁신을 불러올 수 있는 인력도 없었다. 차라리 외부에서 기술과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을 성장시켜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게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했다”고 설립 이유를 밝혔다.

부산이 창업의 메카로 떠오르고 있는 이유 중 하나로 부산에 상주하는 선보엔젤파트너스라는 액셀러레이터 덕분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최영찬 대표의 움직임은 부산 지역 중견기업 2세들에게 큰 자극을 줬다. 지난해 9월 중견기업 2세 13명이 모여 ‘Founders House 13 엔젤클럽’을 만들었다. 이후 지난 3월에는 한국 최초의 기업연합 벤처캐피털‘라이트하우스컴바인인베스트’설립으로 이어졌다. 선보를 포함해 조광페인트·세운스틸·오토닉스·삼신 등 부산·울산 지역 중견기업 2세 17명이 여기에 투자를 했다. 이 소식을 들은 산업은행이 라이트하우스와 손잡고 5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운영하는 계약을 맺기도 했다. 라이트하우스 대표를 맡고 있는 최영찬 대표는 “우리의 역할은 기존 산업에 혁신 기술을 더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라며 “창업주의 아들이라고 무조건 기업을 물려받아 운영하면 오만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역의 중견기업이 수십억 원씩 투자를 해 VC를 만드는 것은 살기 위한 몸부림이다”고 덧붙였다.

스타트업 육성을 통해 혁신의 단초를 마련하려는 대기업의 움직임도 일어나고 있다. 삼성전자의 Clab을 필두로 롯데·한화·KB국민카드·현대카드·이노션 월드와이드 등이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이나 육성 공간을 마련했다.

- 최영진 기자 cyj73@joongang.co.kr

201710호 (2017.09.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