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기업

Home>월간중앙>경제.기업

[양재찬의 통계의 窓]주택보급률 100%의 虛와實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었다?’  

선뜻 가슴에 와 닿지 않는다. 특히 세들어 사는 서민들은 무슨 얘기냐며 볼멘소리다. 정부가 발표한 지난해말 기준 주택보급률은 100.8%. 속내야 어쨌든 반가운 일이다. 하지만 이 숫자는 어디까지나 평균치다. 지역적으로 보면 편차가 크다. 인구의 4분의 1이 북적대는 서울의 보급률은 83.8%에 머무르고 경기도 역시 94.2%다.



수도권 전체로는 91.8%다. 지난해 서울과 경기도의 큰 도시에서 아파트값이 오른 것도 이 점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서울에 사는 사람은 대전에 아무리 많은 집을 지어도 가서 살기 힘들다. 이사하면서 집을 들고 갈 수도 없고…. 따라서 보급률은 지역별로 따져야 한다. 강원도나 충남·북,전남·북,경남·북 등은 2000년에 이미 주택보급률이 110∼120%에 이르렀다. 그래서 지방에서 미분양 아파트가 쌓이는 것이다. 주택보급률은 주택 수를 가구(家口) 수로 나눠 계산한다. 바로 여기에 한계가 있다. 다양해진 가구 형태나 주택 유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2406호 (2024.05.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