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ny

Home>포브스>Company

축구와 경영 모두 잡은 사나이 

정몽규 현대산업개발 회장은 축구행정가와 경영인의 모습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지금까지 양쪽 모두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이다. 정 회장은 어떻게 두 마리 토 끼를 잡을 수 있었을까. 

김현준 포브스코리아 기자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이하 축협) 회장은 10월 30일(한국시각) 스위스로 날아갔다. 국제축구연맹(FIFA) 본부를 방문, 2018 FIFA 20세 이하(U-20) 여자월드컵 및 2019 FIFA 여자월드컵 유치신청서를 제출하기 위해서다. 제프 블래터 FIFA 회장을 만난 정 회장은 “여자축구 활성화를 위해 여자월드컵 유치에 적극 나서게 됐다”며 “여자월드컵 유치는 국민적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말 ‘2017 20세 이하(U-20) 남자월드컵’을 유치하면서 FIFA의 주요 4개 대회(U-17월드컵, U-20 월드컵, 컨페더레이션스컵, 월드컵)를 모두 유치한 나라가 됐다. 이번 여자월드컵까지 유치하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 연속 FIFA 대회를 개최하는 기록도 세우게 된다.

한국 축구 제2의 부흥 이끈다

이에 앞서 정 회장은 FIFA 집행위원 선거에도 출사표를 던졌다. 정 회장은 “집행위원이 되면 한국축구뿐만 아니라 아시아 축구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며 출마 이유를 밝혔다. 209개 FIFA 회원국 중 집행위원이 있는 25개국의 영향력이 남다르다는 점도 정 회장의 출마 이유로 꼽힌다. 아시아대륙에 배정된 FIFA 집행위원의 숫자는 4명이다. 당연직인 아시아축구연맹(AFC) 회장을 제외한 3명을 내년 4월 AFC 총회에서 선출한다.

정 회장의 발 빠른 행보는 축협 회장으로서 공약을 지키기 위한 목적이 크다. 지난해 1월 축협 회장 후보 출마 당시 ‘세계로 향한 비상, 미래를 위한 혁신, 소통을 통한 화합’이라는 슬로건을 내건 정 회장은 “외교, 행정 등에서 한국 축구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1994년부터 2010년까지 부회장 겸 집행위원으로 활동하던 정몽준 FIFA 명예부회장이 2011년 부회장 재선에 실패한 이후 축협은 외교력 공백이 커졌다는 평을 듣는다. 이에 정 회장의 FIFA 집행위원 출마는 한국축구의 외교력 강화라는 그의 출마공약 실현을 위한 행보 중 하나로 읽힌다.

유소년 클럽축구와 여자축구 등 풀뿌리 축구 발전을 강조했던 정 회장의 공약도 가시화되고 있다. 지난해 12월 정몽규 회장, 오규상 한국여자축구연맹회장, 김병철 고려대 총장이 모인 자리에서 고려대학은 여자축구부를 창단하겠다는 내용의 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고려대학은 2015년 입시부터 여자축구 체육특기생을 선발할 예정이다. 또한, 축협은 10월 14일 한국과 코스타리카의 국가대표 평가전에 앞서 오프닝 이벤트로 서울대학과 숙명여자대학 동아리 축구부의 경기를 마련하는 등 여자축구 발전을 위해 바쁜 행보를 이어나가고 있다.

정몽규 회장의 승부사 기질은 기업경영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지난해 현대산업개발은 1479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장기화된 건설경기 침체의 영향이라고는 하지만 결과는 뼈아팠다. 현대산업개발의 적자는 1988년 이후 25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었다.

취임 이후 최초의 적자에 놀란 정 회장은 결단을 내렸다. 실적발표 이후 3개월이 흐른 지난 5월, 정 회장은 임직원에게 한 통의 이메일을 보냈다. 이메일에는 ‘지난해 실적 악화에 대한 엄중한 책임과 나부터 변하겠다는 굳은 의지로 보수를 회사에 반납하겠다’는 정 회장의 다짐이 담겨 있었다. 또한, 정 회장은 ‘경쟁력과 기업의 가치를 높이는 코스트 혁신’을 강조하며 “발상의 전환과 과감한 체질개선을 통해 밸류 엔지니어링(Value Engineering)을 실현할 것”을 임직원들에게 주문했다. 이를 위해 정 회장은 복잡한 의사결정 구조, 기능별 조직의 한계 등을 개선해 책임과 권한이 분명한 조직체계와 역동적인 기업으로 거듭날 것을 선언했다.

위기의 순간에 정 회장이 던진 승부수는 눈에 띄는 경영성과로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말 1조7000억원이던 현대산업개발의 시가총액은 11월 18일 기준 2조5700억원으로 51% 가까이 증가했다. 주가 상승폭은 더욱 컸다. 현대산업개발은 대형건설사 중 유일하게 올해 내내 지난해 종가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해왔으며 10월말 기준 74%의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러한 상승세는 정 회장의 ‘무보수 경영’ 선언이 있었던 지난 5월 이후 더욱 두드러졌다. 5월 말까지 2만8600원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유지하던 주가는 이후 4개월 동안 최고 60% 가까이 상승했다.

선제적인 판단으로 경영 승부수 던져


실적 상승 또한 주목할 만하다. 1분기와 2분기에 각각 227억원, 703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린 현대산업개발은 3분기에도 560억원의 흑자를 기록했다. 3분기까지 2014년 누적영업이익은 1490억원, 누적순이익은 614억원에 이른다. 이 같은 실적은 현대산업개발이 안정적인 흑자기조로 돌아섰음을 보여준다.

정몽규 회장의 진가는 ‘무보수 경영’과 같은 결단력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이는 지난해 말 정 회장이 단행한 선제적인 판단에서도 살펴볼 수 있다. 지난해 현대산업개발 적자의 대부분은 장기미착공 상태에 있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지를 사업화하며 발생했다.

현대산업개발은 이를 통해 확보된 유동성을 기반으로 신규사업용지를 매입하고 우수 사업을 수주하는 등 우량자산에 재투자할 수 있었다. 단기적으로 적자전환이라는 성적표를 받았지만 시장 분위기에 한 발 앞서 분양 공급한 덕분에 결과적으로 사업지 대부분에서 ‘100% 분양완료’란 결과를 만들어냈다.

이와 관련해 김동양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현대산업개발은 미착공 PF도 갖고있지 않아 유동성 리스크도 낮다”며 “신규분양 호조와 미분양주택의 빠른 감소로 현금흐름도 개선 중”이라고 분석했다.

정 회장은 해외시장 다변화도 추진 중이다. 현대산업개발은 지난 9월 볼리비아와 인도에서 ‘바네가스 교량건설사업’ ‘RNA 메트로폴리스 아파트 신축공사’를 각각 착공했다. ‘바네가스 교량건설사업’은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사업으로 재원이 안정적이며, ‘RNA 메트로폴리스 아파트 신축공사’는 주요 자재 및 장비를 발주처가 지급하도록 하는 등 해외사업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있다. 주요 대형건설사들이 해외사업 발 악재로 실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위기마다 과감한 돌파로 승부수를 띄워온 정 회장이 앞으로도 양 손에 쥔 축구와 경영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낼 수 있을 지주목된다.

201412호 (2014.11.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