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Trend

Home>포브스>News&Trend

[기업인 출연 공익재단 탐방(5)] 박인국 한국고등교육재단 사무총장 

지식엘리트가 가진 힘이 재단의 재산입니다” 

김영문 포브스 기자 사진 오상민 기자
최종현 SK 선대회장은 41년 전, ‘사람을 믿고 기르는 것이 기업의 목표’라는 소신으로 한국고등교육재단을 세웠다. 설립 초기의 장학사업을 기억하는 박인국 재단 사무총장은 이제 재단의 영역을 글로벌화해 세계적인 인재를 육성하고자 애쓰고 있다.

▎박인국 한국고등교육재단 총장은 2011년부터 재단 운영을 맡고 있다. 최태원 재단이사장으로 부터 글로벌 인재 양성에 노력해 달라는 부탁을 받고 나서다. 지금은 다년간의 외교관 생활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국제학술교류에 앞장서고 있다.
조셉 나이 하버드대 교수, 제프리 삭스 컬럼비아대 교수, 프랜시스 후쿠야마 스탠퍼드대 교수. 지난해부터 지난 5월까지 한국을 다녀간 세계적인 석학들이다. 이들은 모두 강남 테헤란로 한복판에 세워진 ‘한국고등교육재단’의 초청을 받아 내한했다. 명성이 높은 학자들인 만큼 청중들의 열광은 당연했다. 기자가 참석했던 지난 5월 18일 강연도 그랬다. 당시 제프리 삭스 교수 강연에는 적정 수용인원을 넘어선 인파가 재단 건물에 몰려들어 발 디딜 틈조차 없을 정도였다. 지난 5월 27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의 한국고등교육재단 사옥에서 만난 박인국 사무총장은 당시를 회상했다. “그날 몰려든 인파에 삭스 교수도 깜짝 놀랐어요. 자신이 강연하는 내용이 결코 쉬운 내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젊은이가 몰려온 것을 보고는 ‘한국에 미래가 있다’고 화답하더군요.”

박 총장이 보여줄 게 있다며 재단 건물의 지하 홀로 기자를 이끌었다. “최태원 이사장이 국제학술포럼을 열어야겠다는 구상을 얘기하더라고요. 일반 대중들과 지식을 나누려면 교통도 편리하고 마땅한 공간이 있어야 한다”고 해서 금싸라기 땅으로 불리는 강남 테헤란로에 건물을 세웠단다. “애초 250평 규모에 만들어진 재단 빌딩을 헐고 주변 250평을 더 사서 지금의 건물을 지었어요. 건물 안에는 500평 규모의 콘퍼런스홀, 전자정보도서관, 국제회의장을 갖췄지요.”

기업이 지원하는 다른 재단 건물과 다른 점이 있다면, 어디에도 SK그룹의 사명은커녕 창업자의 이름이나 아호조차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 박 총장이 의문을 풀어주었다. “안 그래도 건물이 완공될 당시 최태원 이사장에게 그 문제를 얘기했더니 ‘재단만큼은 떠들썩하게 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고 하더라고요. 재단 건물에서 SK의 흔적을 찾기 어려운 이유는 오너의 확고한 의지 때문입니다.”

지원하는 기업의 이름이 없는 재단

이 때문에 건물 주변에 사는 사람 중에는 재단 건물을 정부가 운영하는 교육기관 정도로 아는 이들도 많다고 한다. 박 총장을 따라 지하 3층 콘퍼런스홀에 도착했다. 그의 재단 자랑은 빈말이 아니었다. 벽면 전체가 두툼한 책자들로 가득해 마치 외국의 오래된 도서관에 온 듯한 느낌이었다. “소장하고 있는 장서가 1만5000권입니다. 원래는 3만 권이 넘었어요. 최종현 선대회장과 최 이사장이 미국 유학 시절 공부하며 도서관에서 봐두었던 책을 고스란히 구매해 가져온 책들입니다.”

한국고등교육재단이라는 재단의 명칭에도 사연이 있다고 했다. “영문명으로는 Korea Foundation for Advanced Studies입니다. 미국 프린스턴 대학에 있는 프린스턴고등연구소를 벤치마크한 거죠. ‘for Advanced Studies(고등교육을 위한)’가 바로 재단의 설립 정신과 목적입니다.” 박 총장이 힘주어 설명했다.

“최종현 선대회장은 1973년 장학퀴즈가 첫 방송을 탄 이듬해인 1974년 사재 5440만원을 털어 장학재단을 설립했어요. 처음에는 장학사업이 주 업무였지만 지금은 국제 학술사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는 2대 재단 이사장인 최태원 이사장의 의지 때문입니다.”

박 총장은 2대 이사장으로 최태원 회장이 취임하면서 재단의 중점 사업이 된 것이 ‘아시아연구센터’라고 했다. “최 이사장은 1998년 취임 당시부터 아시아가 앞으로 세계의 중심지로 떠오르게 될 거라 믿고 있었습니다. 그러면서 아시아 국가의 학자들끼리는 교류가 없는 점을 아쉬워하더라고요. 그래서 재단이 2001년부터 아시아연구센터 설립을 본격화하게 된 겁니다.” 박 총장의 설명이다. “북한 경수로 사업 건으로 90년대 말에 중국을 오갔을 그때 중국 톈진에는 공항조차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톈진에 있는 대학과 학술교류에 나서야 한다는 생각을 어떻게 할 수 있었는지 지금 생각해도 참 대단합니다.”

최 이사장의 제안으로 재단이 야심차게 추진한 ‘아시아연구센터’는 그동안 아시아 국가 간의 학술협력에 집중해왔다고 한다. 2001년 중국사회과학원에 최초로 설립한 아시아연구센터를 시작으로 중국 푸단대(2001년), 베이징대(2002), 칭화대(2002)와 몽골의 몽골국립대학(2002) 그리고 베트남의 베트남국립대(2001) 등 아시아 7개국 17개 지역 대학에 아시아연구센터가 세워졌다. 센터 구축 비용은 모두 재단이 냈고, 센터 이사장은 재단과 해당 학교가 공동으로 선임한 인물이 맡았다.

세계적인 석학과의 네트워크가 강점


▎지난 5월 18일 한국고등교육재단 지하 3층 콘퍼런스 홀에서 제프리 삭스 미 컬럼비아대 교수의 강연을 듣고 있는 청중들
재단은 아시아연구센터 설립에 이어 학술 포럼 개최에도 공을 들였다. 재단이 주최자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학술 대회는 ‘베이징포럼’과 ‘상하이포럼’이다. 재단이 주관하지만 중국의 베이징과 상하이에서 행사를 갖는다. 국제학술교류 지원사업에도 적극적이다. 매년 50명의 아시아 학자를 한국에 초청해 그들의 연구 활동을 지원한다. 2012년에는 한·중 수교 20주년을 맞아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에서 ‘한국에서 살아본 중국학자가 보는 한국’을 주제로 포럼을 개최했다. 베이징대, 런민대, 푸단대 등 중국 유수의 14개 대학에 재직 중인 석학 42명이 참여한 이 포럼에는 아시아연구센터 설립에 도움을 아끼지 않은 최태원 이사장도 참석했다. 이날 참석한 42명 모두가 2000년 이후 재단의 지원사업을 받은 중국학자들이었다고 한다. “미래에 아시아 사회가 상호 협력과 동반자의 관계로 나아갈 것을 다짐하는 중요한 자리였습니다. 재단의 인재양성 영역을 아시아로 확대한 이후 ‘문명 간의 대화’를 나눈 뜻깊은 기회였죠.” 박 총장은 “아시아 사회발전을 주도할 각국 학자들끼리 더 끈끈한 학술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재단은 현재 아시아연구센터 중심의 네트워크를 중동지역으로 확장할 계획을 세웠다고 한다. 더불어 브루킹스, 하버드 등 세계 유명 연구기관과 적극 협력해 재단의 사업 영역을 글로벌화하겠다는 것도 목표로 삼았다. 이는 주(駐) 유엔 대표부 대사를 지내는 등 외교관 출신인 박 총장이 재단을 맡게 된 배경이기도 하다. 박 총장은 “최태원 이사장이 글로벌 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요청해 2011년 재단과 다시 인연을 맺었다”고 했다.

사실 박 총장 자신이 재단이 선발한 ‘해외유학 장학생’이기도 했다. 1978년 재단 장학생 시험을 통과해 미국 유학을 준비했다가 그해 외무고시에 합격하는 바람에 학자의 꿈을 ‘재단 동기생’에게 대신 전했단다. 박 총장이 학자의 꿈을 미뤘던 ‘재단 동기생’으로는 최장집 고려대 명예교수, 박지향 서울대 교수, 염재호 고려대 총장 등이 있다. 학계 거목으로 성장한 박 총장의 동기생들을 보면 재단의 장학사업이 단순히 형편이 어려운 학생을 돕는 복지 차원의 장학사업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재단은 학문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큰 학생을 시험을 통해 선발해 무조건 5년 이상 수십만 달러에 달하는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박 총장은 “재단이 요구하는 것은 단 한 가지다. 세계적인 학자가 되는 것”이라고 자신 있게 말했다. 이처럼 재단의 초창기 업무였던 장학사업은 현재도 여전히 재단의 대표사업이다.

노벨상 후보로 거론되는 학자도


박 총장은 재단이 40년간 일궈낸 성과에 대한 자부심이 상당했다. 그동안 재단의 장학금 지원을 받아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만 634명(2014년 말 기준)이다. 미 하버드대(77명)·스탠퍼드대(71)·시카고대(41)·MIT(36) 등 세계 최고 수준의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박 총장은 “미국 버클리대학에서 정치학을 가르쳤던 이홍영 교수가 최종현 선대회장이 재단을 설립하게 된 얘기를 들려준 적이 있어요. 1948년 정부가 수립됐을 때 우리나라 박사학위 소지자가 18명뿐이었답니다. 이러다 나라를 빼앗기겠다 싶어 미국으로 인재를 보내 박사학위를 받게 해야겠다는 얘기를 종종 했다는 겁니다. 그런데 지금은 재단이 지원한 박사학위자만 634명입니다.” 박 총장은 “학자 중에는 순수과학 분야는 물론 첨단 기술 분야에서도 노벨상 후보로 거론되는 이들도 있다”며 재단의 성과를 자랑스러워했다. 인터뷰를 마치면서 박 총장은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국가와 지역이 한 단계 더 성장하려면 세계적인 학자들의 힘이 필요하다”며 “재단은 지식엘리트를 키우고, 교류할 수 있도록 힘쓰면서 많은 이들과 지식을 공유하는 일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 글 김영문 포브스코리아 기자·사진 오상민 기자

201507호 (2015.06.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