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agement

Home>포브스>Management

S.T.듀퐁 클래식에 새긴 그의 스토리(7) 동양인 최초의 플로리스트 방식 회장 

마음이 꽃이 돼야 산다 

대담 송길영 다음소프트 부사장·진행 유부혁 기자 yoo.boohyeok@joongang.co.kr
동양인 최초의 플로리스트 방식(71) 회장. 88서울올림픽을 시작으로 독일 총리관저, 청와대, 정상회담, 주요 시상식, 백화점, 그룹 회장실엔 언제나 방 회장의 꽃이 놓여 있었다. 서울 성북동에 자리한 방식꽃예술원 테라스에서 방 회장과 송길영 부사장이 만났다.

송길영 부사장이 20분 정도 늦을 것 같다고 전하자 방식꽃예술원 회장은 “그럼 잠시 춤을 좀 추겠다”라며 예술원 3층으로 올라갔다. 그를 따라 올라가는 통로의 벽에는 그림 몇 점이 걸려 있었다. 그는 “내가 그린 그림”이라고 했다. 예술원 2층엔 방식 회장이 모은 특별한 드라이 플라워가 한 벽면을 가득 채우고 있었다. 다른 벽면에도 그와 관련한 사진 기록이 빼곡히 자리하고 있었다. 작은 박물관에 온 듯해 물었더니 방식 회장은 쿨한 표정으로 “잘 남기고 잘 넘겨 주는 게 내가 할 일 아니겠나!”고 했다. 알고보니 예술원을 일반인과 관광객들을 맞이할 수 있는 공간으로 단장 중이었다.

때마침 송길영 부사장이 도착했다고 알려왔다. 사진 촬영도 할 겸 두 사람이 예술원을 한바퀴 둘러보기로 했다. 걸음을 걷던 두사람이 한 순간, 2층 방 회장의 젊은 시절 활동상이 담긴 사진 앞에 멈추고 마주 섰다. 방 회장은 “이런 이야긴 저녁에 소주 한잔 하면서 해야 하는데…”라며 잠시 눈을 감았다. “옛날 이야기를 꺼내면 마음이 아프다”며 그가 들려준 이야기는 그가 플로리스트의 길로 들어서게된 운명적인 스토리였다.

“군대를 가기 전 사귄 여자친구가 간호대생이었는데 당시 돈을 벌기 위해 독일로 갔어요. 3년의 군생활을 마치고 독일로 갔더니 그녀에겐 이미 약혼자가 있더군요. 16개월 동안 광부로 일해서 독일로 오기 위해 빌린 비행기 티켓값을 갚았죠. 그 뒤에 독일 본에 있는 성당에서 우연히 조경사로 일하게 됐어요. 거기서 독일 조경 연합회장인 칼라이를 만났고 그의 집에서 10여 년을 보내며 독일의 조경과 꽃꽂이를 배운 겁니다. 그의 집에 있으면서 독일에서 작은 꽃집을 운영했는데 꽤 잘됐어요. 그러다 33살에 동양인 최초의 플로리스트로 한국에 돌아왔죠. 명동에 위치한 상업전수학교 교실을 빌려 꽃꽂이를 가르치고 근처에서 꽃집을 운영했지요. 어느날 신격호 당시 롯데백화점 사장(현 롯데그룹 총괄회장)이 꽃집에 들렀고 그게 인연이 돼 롯데백화점 1층에서 꽃가게를 운영하게 됐어요. 유명해 진거죠. 그렇게 갤러리아백화점을 시작으로 방송사, 호텔 등에 꽃 장식을 계속 추가하면서 내 이름이 알려지게 됐지요.”

어릴 적부터 그림과 음악, 춤에 익숙해


송길영(이하 송): 언제부터 꽃에 대한 관심이 있었나요?

방식(이하 방): 중학교 2학년 때 선생님이 “커서 뭘 할거냐?”고 묻길래 “그림 그리며 꽃 키우고 살겠다”고 했어요. 선생님은 “그게 무슨 꿈이냐”고 하셨지만 지금 그렇게 살고 있어요. 당시 그런 이야기를 했던 이유가 어릴 적 우리 옆집엔 남농(허건) 선생이 살았고 우리 아랫집엔 국악원이 있었는데 지금은 국악 명인이 된 조상현, 신영희씨가 있었죠. 그리고 우리집 작은방엔 서커스 단원들이 세들어 살았어요. 늘 듣고 보는 게 그림과 음악, 춤이었죠. 그러니 지금도 전 그림 그리고 춤도 추고 소리를 합니다.

송: 그렇게 모여 살기 쉽지 않았을 텐데요?

방: 당시는 산 밑에 살아야 폭격에도 살아남는다고 다들 산 밑에 모여 살았어요.

송: 독일 유학 이야기는 앞서 들었고요. 플로리스트가 직업과 취미 사이에서 쉽진 않은 것 같아요.

방: 맞아요. 독일처럼 나라에서 관리하는 게 아니다 보니 직업으로서 경쟁력을 가지기 쉽지 않긴 합니다. 하고자 했던 사람 중에 10% 정도만이 자기 길을 계속 이어가는 것 같아요. 독일에 가면 플로리스트뿐만 아니라 음악, 무용전공자 출신의 가이드가 참 많습니다. 고급 방랑자죠.

송: 대학생들이 스펙을 만들어 입사하는데 사용하고는 직장에 들어가선 대부분 그 스펙을 활용할 기회가 없거나 쓸모없는 것들이라고 하죠.

방: 우리나라 예술계에서 대가들이 잘 안 나오는 이유가 그겁니다. 입력하고 따라 해요. 자기만의 콘텐트가 없어요.

송: 소위 인터넷과 연결되지 않았을 때의 지식이 자기 것이죠. 저는 전산학과 출신인데 시험 볼 때면 교수님이 컴퓨터가 아닌 백지를 주고 답을 쓰라고 하셨어요. ‘진짜 네 것만 써라’는 의미죠.

송: 독일에서 배운 걸 한국에서 펼치긴 어땠습니까?

방: 우리나라는 독일보다 조경, 꽃이 발달하기 참 좋은 조건이에요. 우리나라는 거리문화가 발달했잖아요. 독일은 소위 돈이 안 되는 나무는 잘라버립니다.

송: 거리의 나무도 합리적으로 관리하는군요.

방: 하지만 우리나라는 국토의 70%가 산이잖아요. 게다가 나무도 함부로 자르지 않죠. 당산나무는 신이 깃든 나무라고 안 자르고요.

송: 예술원 조경이 대게 우리나라 조경과는 다른 것 같아요. 잔디에 예쁜 수목이 있는 풍경이 일반적인 조경 아닌가요.

방: 잔디밭 위의 예쁜 수목. 그건 인위적인, 군국주의의 산물이죠. 어지럽고 무질서 해 보이지만 상당히 관리가 잘 된 조경입니다.

송: 획일적이지 않은 자연스러움을 추구하시는 거죠?

방: 그럼요. 우리나라 조경이나 꽃꽂이가 독일만큼 아니 그보다 우수한 이유가 바로 우리 민족의 자유분방함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획일화, 규격화되면 덜 아름다워요. 얼마 전 모 신문에서 우리나라 관광산업이 발달하려면 음식이 규격화 돼야 한다는 기사를 읽었는데 저는 반대입니다. 어딜 가든 새롭고 다양하고 자유로와야죠.

송: 우리나라 꽃꽂이 시장과 관련 학문은 회장이 만드신 겁니까?

방: 전승은 인습이고 답습입니다. 저는 형식과 기초를 만들어 줄 뿐이고 나머지는 그들 나름의 예술성을 추가하는 거죠. 불러주기 위한 꽃이 돼야 하니까요.

송: 자신만의 영역을 일부러 개척하신 건가요?

방: 경쟁을 힘들어 하는 편입니다. 그냥 아무도 가지 않는 길을 일부러 찾았어요. 조경사 자격증도 있지만 독일에서 귀국했을 땐 이미 조경사들이 국내에서 어느 정도 활동하고 있길래 그 일은 하지 않고 꽃꽂이 일을 한 겁니다.

자신을 위해 꽃을 사야한다


송: 방식이란 이름이 브랜드가 됐습니다.

방: 내 이름 때문에 꽃 사는 사람이 있을까요? 난 오히려 아는 사람이 내 꽃을 사는 걸 탐탁치 않아 합니다. 꽃의 가치가 훼손되니까요. 제게 중요한 건 농민들입니다.

송: 왜죠?

방: 요즘 조화를 많이 사용하는데… 합리적이라는 이유로 말이죠. 최소한 전 플로리스트로 농민들에 도움이 되면 좋겠어요. 현실은 농민이 아닌 상인에 보탬이 되니 마음이 아파요. 화훼가 안 되는 이유도 마찬가지입니다. 20만원짜리 부케를 3만원에 하청을 줍니다. 결국 나 아닌 남을 위해 꽃을 사는 사람들이 문제라고 봐요. 자신을 위해 꽃을 사는 사람들이라면 어떤 꽃을 얼마나 조화롭게 구성하는지, 상품에 관심을 가질 텐데 지금은 꽃을 보내고 꽃을 주는 데 의미를 두잖아요. 그러니 농민이 아닌 중간의 상인들이 이득을 봅니다. 전 그냥 1000원짜리 꽃 한송이라도 꽃을 좋아하는 사람이 많아졌으면 좋겠어요.

송: 30년 넘게 플로리스트 일을 하셨으니 제자들도 상당수겠네요.

방: 플로리스트는 600명, 여기서 수료하고 독일에 가서 상공부가 주는 마이스터 자격증을 취득한 제자가 100여 명 될 겁니다. 신라, 조선, 하얏트 호텔 꽃장식을 담당하고 공항이나 백화점에서도 다들 일하고 있어요.

부사장이 갑자기 “덕후를 아십니까?”라고 물었다. 방 회장이 “모른다”고 답했다. “한가지에 몰두하는 사람을 뜻한다. 요즘 젊은이들이 바로 덕후로 성공하는 사람이다. 회장님은 젊은이들 표현대로라면 성공한 덕후라는 뜻의 ‘성덕’입니다.” 그 말에 방 회장이 웃었다.

방식은 ‘성덕(성공한 덕후)’이다


송: 플로리스트가 되기 위한 과정이 쉽진 않죠. 합리적인 보상체계가 갖춰져야 하지 않을까요?

방: 상추 뜯어다가 그냥 팔면 단속하지 않죠. 가락동 꽃 시장도 일부 경매고 시장 앞은 대부분 소매예요. 그것도 꽃가게 하는 사람 같으면 500원 깍아 주는 식이죠. 이렇게 해선 안됩니다. 국가가 나서서 라이선스에 기반한 업으로 인정해 줘야 합니다.

송: 꽃은 순간 아닌가요? 잠시 자연을 가져와 보는 건데 허무하지 않습니까?

방: 그렇게 따지면 오페라는 1시간이잖아요. 꽃은 두고 보면 3일은 갑니다. 그리고 식물은 모든 뿌리가 감당할 수 있을 만큼 자랍니다. 살아야 되는 운명도 타고나죠. 마찬가지로 잘라야 사는 나무도 있어요. 최대한 그런 가지를 사용합니다.

송: 경쟁을 왜 싫어하십니까?

방: 내 마음대로 할 수 없으니까요. 아무도 하지 않는 건 내가 기준을 만들고 내가 하면 돼요. (웃음)

송: 처음으로 돌아가서. 꽃을 만지며 무슨 생각을 하십니까?

방: 일주일에 하루 이틀은 꼭 파주 농장에 갑니다. 거기서 하는 일은 풀을 뽑는 거예요. 약을 뿌려서 잡초를 죽일 수 있지만 그러지 않아요. 잡초를 뽑으면 함께 꽃과 나무의 생리를 경험하니까요. 마음이 꽃이 돼야 삽니다. 더 정확히는 마음이 꽃이 되는 삶을 살면 좋겠어요.

- 대담 송길영 다음소프트 부사장·진행 유부혁 기자 yoo.boohyeok@joongang.co.kr

201611호 (2016.10.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