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종.심층취재

Home>월간중앙>특종.심층취재

[현지취재] 한·몽골 사막화 방지 조림사업 10년 

사막 위에 펼쳐진 ‘녹색 한류’ 

중국 네이멍구=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
민둥산 국가에서 조림기술 수출국으로 발돋움… 산림청 주도로 중국, 몽골, 인도네시아, 파라과이 등 세계 14개 나라에 여의도 면적 475배의 녹색 숲 조성

▎한국인 투자회사인 코린도(KORINDO)사가 인도네시아 칼리만탄섬 빵갈란분 지역에 조성한 유칼립투스 숲.
5월 16일 중국 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 쿠부치(庫布其) 사막. 몽골·러시아와 인접해 있는 네이멍구 자치구의 바오토우(包頭)시 공항에서 자동차로 남쪽을 향해 1시간40분쯤 달리자 광활한 모래 벌판이 나타났다. 입자가 고운 황색 모래가 온 세상을 뒤덮은 듯했다. 초속 8m가 넘는 강풍이 불어 모래 폭풍이 일기도 했다. 쿠부치 사막은 중국 내 일곱 개 사막 중 가장 동쪽에 자리해 잡고 있어 한국과 가장 가깝다. 직선거리로 서울에서 1500㎞에 불과하다. 면적은 1만610㎢로 세계에서 아홉째로 크다. 편서풍이 불면 이곳에서 발생한 황사가 하루 만에 한국에 도착한다. 한국에 불어오는 황사의 40%는 쿠부치 사막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졌다.

SUV차량으로 갈아타고 사막 안으로 깊숙이 들어가보니 놀라운 광경이 펼쳐졌다. 풀 한 포기 없을 것만 같았던 사막에 거대한 조림지(造林地)가 형성돼 있다. 군데군데 숲을 이루기도 했다. 사막 곳곳에 퍼져있는 조림지는 2700ha에 달했다. 여기에는 포플러와 사류(사막버드나무)·사막비타민나무 등 840만 그루가 심어져 있다. 쿠부치 사막 외곽도로에는 가로수 숲길이 형성됐다. 이곳 지에팡탄(解放摊)과 차이등(柴登)을 남북으로 연결하는 도로 16㎞ 구간에 좌우 폭 0.8㎞로 형성된 가로수 길이다. 이를 중국 사람들은 동쪽의 만리장성에 빗대 서쪽의 ‘녹색장성(綠色長城)’이라 불렀다. 녹색장성의 포플러 등은 높이가 5m를 넘는 것도 있다.

쿠부치 사막의 조림은 (사)한중문화 청소년협회(미래숲)와 중국공산주의청년단(공청단) 주도로 2006년부터 추진됐다. ‘미래숲’은 권병현(79) 전 주중대사가 2001년 설립했다. 권 전 대사는 현재 ‘미래숲’ 대표를 맡고 있다. 이후 공청단과 협약을 맺고 지금까지 나무를 심어왔다. 이곳 나무심기에는 경기도·경상남도 등 자치단체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등 공기업, 대한항공·SK·BC카드·롯데호텔·쌤소나이트·GKL 등 기업도 참여했다. 산림청도 2007년 쿠부치 사막 나무심기에 참여해 올해까지 360만 그루를 심었다. ‘미래숲’이 산림청에서 예산 35억원을 지원받아 대신 심었다.

외교관 출신인 권 대표는 1998년 주중 대사로 부임하면서 하늘을 메운 노란 먼지구름(황사)의 심각성을 체험했다. 그는 “1992년 한·중 수교 때도 실무 책임자로 깊이 참여했던 터라 한국과 중국의 끊어진 100년을 회복하고 싶었다. 권 대표는 중국 정부에 ‘사막에 나무를 심겠다”고 제안했다. 산림녹화 경험이 풍부한 한국의 기술력과 자금으로 협력하겠다고 했다.

2000년 퇴임한 그는 곧바로 지인들의 도움을 받아 ‘미래 숲’을 설립했다. 설립 목적은 사막 귀퉁이에 숲을 일구어 황사를 막는 울타리로 삼는 것이었다. 당초 이 ‘사막 식수(植樹)’을 바라보는 시선은 회의적이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쿠부치 사막은 나무가 자랄 수 없는 죽은 땅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래숲’이 사막에 심은 나무 가운데 90%는 죽지 않고 살아남았다. 도시의 활착률(옮겨 심은 식물이 살아남는 비율) 95%와 비슷한 수준이다. 다행히 쿠부치 사막은 황하(黃河)강에서 남쪽으로 40~50㎞떨어져 있다. 20㎝정도만 파도 모래에 습기가 남아 있다. ‘미래숲’ 임영수 조림팀장은 “사막이지만 습기가 유지되고 있어 나무 생육에 도움을 준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도 쿠부치를 모범 조림사업의 사례로 꼽고 있다.

산림청, 2007년부터 사막에 360만 그루 조림사업


▎한중문화청소년협회(미래숲) 임영수 조림팀장이 5월 16일 중국 쿠부치 사막(네이멍구 자치구)에서 조림 상황을 설명하고 있다.
‘전 국토의 민둥산에서 조림기술 수출국으로’. 대한민국이 한국전쟁 이후 일군 산림분야 성과다. 대한민국은 2015년 국내총생산(GDP) 1조4100억 달러로 세계 경제규모 11위의 경제대국을 달성했다. 하지만 경제 규모 못지않게 산림분야에서도 선진국 대열에 진입했다는 평가다. 한국의 산림률은 2010년 기준 63%로 OECD가입국가 중 핀란드(72.9%)와 스웨덴(68.7%), 일본(68.5%)에 이어 세계에서 넷째로 높다. 정부는 이 같은 성공을 기반으로 해외 조림사업(산림자원개발)에도 힘을 쏟는다. 신원섭 산림청장은 “우리나라는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치르면서 산림이 극도로 황폐해졌다”며 “하지만 부모 세대가 피땀 흘려 추진한 치산녹화(治山綠化)로 산지를 성공적으로 복구한 세계 유일의 국가가 됐다”고 했다. 신 청장은 “대한민국의 산림녹화 사업의 배경에는 새마을운동의 근면·자조·협동 정신이 뒷받침됐다”며 “1950년대 산주(山主)와 지역 주민들이 공동 설립한 산림계(山林契)는 전국 2만여 마을로 확산됐다”고 말했다. 또 1973년 정부가 도입한 ‘검목(檢木)제도’가 산림보호에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제도는 봄에 계획했던 수만큼 제대로 나무를 심었는지 가을에 확인하는 제도다.

산림청에 따르면 국내 입목축적(목재의 양)은 1960년(ha 당 10.6㎥)부터 지난 40년간 12배가 증가했고 대기정화, 맑은 물 공급 등 산림의 공익적 가치는 돈으로 환산하면 2010년 기준 연간 109조원에 이른다. 이는 GDP의 7%에 해당한다. 신 청장은 “대한민국은 해외 조림사업에도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며 “산림의 성공역사를 해외 여러 나라에 전파해 녹색한류(綠色韓流)를 일으키고 있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산림녹화는 새마을운동 정신 뒷받침돼”


▎베트남 동나이 지역 항구에서 우드칩을 선적하는 모습.
산림청에 따르면 해외 조림산업의 목적은 주로 목재 또는 에너지원 확보와 사막화 방지 등이다. 한국은 전 세계 14개국에 34개 기업이 진출해 39만9068㏊를 조림했다. 서울 여의도 면적의 475배에 해당한다. 조림사업 대상 국가는 호주·뉴질랜드·베트남·필리핀·인도네시아·라오스·캄보디아·우루과이·파라과이·칠레·중국·몽골 등이다. 동남아 지역으로부터 남미·중국 대륙까지 곳곳에 퍼져 있다.

또 산림청 등 국가기관이 직접 나무를 심거나 ‘미래숲’ 같은 민간단체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산림청·미래숲 등은 1998년부터 본격 해외조림사업에 직접 참여해 1만8895ha에 나무를 심었다. 정부는 민간기업 참여 부분을 포함해 2017년까지 44만ha, 2050년까지 100만ha의 해외조림을 추진할 계획이다. 신원섭 청장은 “2050년 무렵에는 국내 목재 수요량의 50%를 해외에서 공급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상반기까지 해외에서 국내로 반입한 목재류는 200만 6000㎥에 이른다. 한솔홈데코㈜ 등 11개 기업이 원목·펄프용칩·목재펠릿·베니어 등을 반입했다. 하지만 아직도 국내 목재 수요의 85% 이상은 수입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한국의 해외산림자원개발은 1968년 시작됐다. 하지만 단순 벌채 수준에 머물렀다. 당시 한국남방개발㈜가 인도네시아의 칼리만탄에서 목재를 벌채해 국내로 들여왔다. 산림청 임하수 해외자원개발담당관은 “해외에 나무를 심어 가꾼 게 아니고 단순히 돈을 주고 나무를 사온 것에 그쳤다”고 말했다.

이후 한동안 침체기를 겪던 해외산림자원개발은 1993년 부터 활발해졌다. 목재 자원의 장기·안정적 확보의 필요성에 따라 정부의 지원아래 시작됐다. 또 국제적으로는 1980년대 동남아시아와 남미 등 열대림 지역의 무분별한 벌채가 이뤄지면서 기후변화와 자원보존 문제가 대두됐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각국에 온실가스 감축의무가 주어졌고 한국도 해외 조림에 적극 나서게 됐다. 해외조림은 정부가 저금리로 자금을 기업에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기업은 해외에 진출에 나무를 심고, 목재를 국내로 들여왔다. 융자 조건은 연리 1.5%이며 융자가 가능한 예산은 연간 250억~290억원이다. 지난해까지 정부는 1940여 억원을 융자 지원했다. 산림청 관계자는 “해외 조림사업이 활발해지면서 해마다 융자예산이 모자랄 정도”라고 말했다.

목재 에너지원 시장 규모도 증가


▎산림조합중앙회가 베트남 빙투원 지역에서 아카시 조림목을 벌채하고 있다.
최근에는 ‘산림바이오매스’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등 해외조림 목표가 다양해지고 있다. 이오규 산림청 연구관은 “2007년 국제 유가 폭등 이후 다양한 에너지원 확보 바람이 불면서 목재 에너지에도 관심을 갖게 됐다”며 “목재 펠릿(pellet)등을 사용한다”고 말했다. 펠릿은 발열량이 무연탄과 거의 비슷하지만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10분의 1 이하다. 세계 목재 펠릿시장 규모는 1980년 10만t에서 2008년 1000만t으로 증가했다.

해외조림사업의 첫 테이프를 끊은 기업은 한솔홈데코㈜다. 이 회사는 93년 서호주 콜리지역에서 508ha규모로 조림 사업을 시작했다. 이후 매년 사업규모를 늘려 2003년까지 1만6000ha에 나무를 심었다. 한솔홈데코㈜는 96년 뉴질랜드에 진출해 9000ha를 조림하는 등 지금까지 2만5000ha에 나무를 심었다. 주로 심은 나무는 유칼립투스(호주)와 소나무 종류(뉴질랜드)다.

세양코스모㈜도 94년 베트남에 진출해 현재까지 1만 5000ha를 조림했다. 이 회사는 2000년부터 해외 조림목을 펄프용 칩으로 가공·생산해 전량을 국내에 반입하고 있다. 이곳에 심는 나무는 주로 팜 오일과 고무나무 등이다. 이와 함께 산림조합중앙회와 이건산업㈜, 동해펄프㈜, ㈜성원 등이 인도네시아·솔로몬·중국·남미 파라과이·칠레 등에 진출해 자체 조림사업을 하고 있다.

해외국가에서도 조림사업이 가장 활발한 국가는 인도네시아다. 인도네시아 보르네오섬의 중부 칼리만탄 빵갈란분 지역에는 한국계 기업 코린도(KORINDO)가 참여한다. 코린도는 1960년대 말 인도네시아에 진출해 현지 법인을 설립한 한국인 투자회사다. 인도네시아 진출 초기 현지에서 미지의 열대림을 개발해 원목을 수출하던 코린도는 1998년 인도네시아 정부의 허가를 받아 빵갈란분에서 조림사업에 뛰어들었다.

2011년 코린도가 인도네시아 산림부로부터 최종 허가를 받은 조림면적은 모두 9만4384㏊이다. 이 가운데 현재 식재 면적만 6만7200㏊로, 이미 서울 전체 면적(6만528㏊) 보다 넓다. 코린도는 이곳에 아카시아 망이움(Acacia Mangium)과 유칼립투스 펠리타(Eucalyptus Pellita), 자본 메라(Jabon Merah) 등을 심어 현지에서 목재를 생산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세계 3대 열대우림 국가여서 나무의 생장이 온대림에 비해 5배 이상 빠른 장점이 있다. 한국 조림 비용이 1㏊당 450만∼500만원인 것에 비해 현지 조림비용은 1㏊당 110만∼120만원 정도로 저렴하다.

인도네시아에는 코린도를 포함해 삼성물산·삼탄·대상홀딩스·LG상사·태영글로벌·대우인터내셔널 등 10여 개 국내 기업이 진출해 조림사업을 벌인다. 이들 기업이 1993년 이후 지난해까지 일군 조림의 규모는 모두 29만6288㏊로, 국내 기업이 쌓아온 전체 조림 면적의 74% 정도를 차지한다.

인도네시아 조림사업은 목재수급뿐 아니라 천연열대림 보호에도 도움이 된다. 김영철 코린도 조림본부장은 “현지 조림 사업은 천연목은 사용하지 않고 대체 목재자원을 확보해 열대림을 보호하고 지구온난화 방지에도 기여한다”고 말했다.

산림청은 인도네시아 정부와 협약을 체결해 조림사업을 돕는다. 산림청은 인도네시아 정부와 2006년 8월과 2009년 3월에 각각 50만ha와 20만ha 규모의 산림조성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인도네시아는 협약한 규모만큼의 땅을 한국기업 등에 임대료를 받고 제공한다.

산림청 산하 녹색사업단과 산림조합중앙회 등도 인도네시아 현지 법인을 설립해 조림사업을 펴고 있다. 녹색사업단은 2011년 국유림을 관리하는 인도네시아 공기업인 영림공사와 ‘바이오매스 조림과 목재펠릿 가공에 관한 협약’을 체결했다. 2013년부터 스마랑 지역 국유림 내에서 2000㏊ 시범 조림사업을 하고 있다. 이곳에서는 올해부터 목재칩 생산을 시작, 국내 발전사에 전량 공급할 계획이다. 산림조합중앙회 인도네시아 법인도 2011년부터 현지에서 조림사업을 시작해 지난해 말 현재 2만1834㏊의 조림면적으로 보유하고 있다. 현지 회사와의 합작사업 방식으로 임산 가공 산업 진출을 꾀하고 있다.

노무현 정부 때 시작된 몽골 그린벨트 조성사업


▎신원섭 산림청장
대한민국은 사막화 방지를 위한 조림사업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쿠부치 사막은 물론 몽골에서도 조림사업을 해왔다. 몽골은 국토의 90%가 사막이 됐거나 사막화가 진행 중이다. 지난 30년간 약 887개의 강(개천)과 1166개의 호수가 사라졌다. 해마다 48만ha의 초지가 황무지로 변하고 있다. 몽골 사막화 원인으론 기온 상승과 낮은 강우량, 과도한 방목·목축, 미숙한 농업기술 등이 꼽힌다. 몽골정부는 사막화의 심각성을 깨닫고 2005년에 그린벨트 조성계획을 세웠다.

산림청은 몽골 고비사막 지역인 달란자드가드 솜(한국의 군 단위 행정구역) 등 3곳에서 2007년부터 나무심기를 해왔다. 이들 지역의 조림지는 총 3000ha규모다. 달란자드가드 솜은 몽골의 수도 울란바토르에서 남서쪽으로 600㎞ 떨어진 인구 1만5000여 명의 작은 도시다. 황사 발원지로 알려진 고비사막 서쪽 끝에 있다.

이곳에는 가로 1㎞, 세로 500m 크기의 조림지가 500곳(500㏊)이나 있다. 축구장 500개를 만들 수 있는 규모다. 이곳에 심은 나무는 30만여 그루. 건조한 기후에 자랄 수 있는 비술나무·포플러·갈매보리수·위성류(사막 버드나무) 등이었다. 이곳에 나무를 심는 방법은 독특하다. 폭 10㎝, 깊이 60㎝의 고랑을 파고 다시 그 안에 폭 40㎝, 깊이 40㎝ 크기의 구덩이를 판 다음 심는다. 고랑을 파놓고 심어야 수분 유출을 막을 수 있고 모래바람의 영향을 덜 받는다.

달란자드가드 이외에 바양작과 울란바토르 인근 룬솜에도 조림지가 있다. 바양작은 자동차를 타고 서쪽으로 2시간 정도 달리면 도착한다. 산림청은 바양작 500ha의 조림지에 싹싸울(Saxaul)을 심었다. 싹사울은 사막에서 잘 자라는 나무로 땔감이나 짐승 사료로 쓰인다.

몽골 조림사업은 2006년 노무현 정부 당시 한국과 몽골 정부가 ‘몽골 그린벨트 조성사업’ 협약을 맺음에 따라 산림청이 현지 사업단을 구성해 심은 것이다. 조림사업을 위해 지금까지 정부예산 138억원을 썼다. 몽골 그린벨트 조성사업은 올해로 10년째를 맞았다. 최수천 산림청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장(부이사관)은 “불모지에서 이 정도의 성과는 대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몽골 조림사업은 몽골 정부의 정책과 국민들의 생각을 바꿨다. 몽골정부는 2010년 ‘나무 심는 기념일’을 제정했다. 매년 5월과 10월 둘째 주 토요일에는 대통령을 포함해 온 국민이 나무를 심는다. 몽골 정부는 또 2012년 토지황폐화 및 사막화 방지를 위한 법령을 제정했다. 지난해 1월에는 몽골 환경부의 조림보호관리과를 조림보호관리국으로 격상했다. 몽골 정부는 지난해 5월 ‘국가 산림에 관한 장기 정책’을 처음 마련했다. 이에 따라 쇠퇴한 산림의 복원을 위해 조림·양묘 및 우량 종자의 확보를 정책 우선 추진한다는 게 몽골 정부의 방침이다. ‘한-몽 그린벨트 사업단’에서 일하는 몽골인 수가르수르(28·여) 씨는 “한국의 사막에서 나무심기 사업은 몽골인에게 산림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일깨워줬다”며 “한국과 몽골의 조림사업이 지속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동남아 중심에서 남미·중동·아프리카까지 진출


▎1. 코린도사가 인도네시아 칼리만탄섬에 조성한 유칼립투스 숲. / 2. 아카시 조림지. / 3. 산림청 녹색사업단에서 진행하고 있는 파라과이 Mbutuy 지역 조림지.
해외조림은 남미까지 진출했다. 대표적인 국가가 파라과이다. 산림청 산하 녹색사업단 허경태 단장은 “동남아 중심으로 해오던 해외 조림사업에서 파라과이는 신대륙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신흥 개척지”라고 말했다. 파라과이는 브라질·아르헨티나·볼리비아에 둘러싸여 있는 내륙국가로 면적은 한반도의 1.8배(40만6752㎢)에 달한다.

산림청은 2009년 파라과이와 산림협력 MOU를 체결했다. 이후 산림청 녹색사업단은 현지 법인을 설립하고 2013년부터 파라과이 동부 카아과수주에서 나무를 심기 시작했다. 2015년 10월까지 520ha에 유칼리 나무 37만1000여 그루를 심었다. 허 단장은 “파라과이는 토양이 비옥하고 강수량이 풍부해 나무생육에 적합한 환경을 갖고 있다”며 “2046년까지 여의도 면적(840ha)의 24배에 달하는 2만ha의 조림지를 확보해 목재 600만㎥를 확보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산림청 이외에 기업으로는 ㈜성원이 파라과이에 2600ha 규모의 조림지를 조성했다.

산림청은 올해부터 해외조림산업을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으로도 확대하고 있다. 신원섭 산림청장은 지난 5월 2일 이란의 수도 테헤란에서 코다카람 좔랄리(Khodakaram Jalali) 산림유역관리청장과 ‘한·이란 산림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앞서 이란정부는 한국의 성공적인 산림녹화에 관심을 갖고 2009년과 2014년 2차례 한국과의 산림협력을 요청했으며, 최근 양국간 정상회담을 계기로 공식 MOU체결이 성사됐다.

양해각서 체결에 따라 산림청은 이란의 산림복원에 적극 참여키로 했다. 산림복원은 조림 기술을 이란에 전수하고 예산도 지원하는 방식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또 이란지역의 사막화·침식 방지, 산불·병해충관리, 기후변화대응, 산림공원 관리 등의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양국 산림 전문가를 빠른 시일 안에 파견하고, 산림청은 이란의 산림공무원을 초청해 교육연수기회를 주기로 합의했다.

이란의 경우, 아보르즈 산맥의 북쪽지역은 산림자원이 풍부한 편이다. 유네스코 생물권 보호지인 아라스바란 등 유명 산림지대도 있다. 하지만 테헤란 인근은 강우량이 적어 황무지가 된 곳이 많다. 이란 정부는 1960년대부터 황폐화되는 국토를 보호하기 위해 전 산림을 국유화하고 강력한 산림보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산림청은 이란 산림녹화 사업이 성사되면 다른 중동 지역 조림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신 청장은 “한국의 녹화성공 경험과 기술이 국제협력을 통해 중동지역 황무지를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아프리카에도 진출한다. 신원섭 청장과 케베데 이맘 에티오피아 산림환경기후변화부 차관은 5월 26일(현지시각) 에티오피아 대통령 궁에서 양국 정상들이 참석한 가운데 산림 및 기후변화 대응 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국은 산림녹화 기술협력과 연수·연구 지원·탄소배출 저감활동, 대규모 녹화를 위한 산림종자 보관·가공분야 연구·기술 협력 등에 나선다. 에티오피아는 산림황폐와 기후변화로 인한 최악의 가뭄을 극복하기 위해 기후대응 녹색경제(CRGE)라는 대규모 계획을 수립하고 국가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에티오피아는 무분별한 벌채로 황폐화 돼 국토의 9%가량만 산림으로 남아있고 지난해부터 최악의 가뭄피해를 겪고 있다. 산림청은 산림복원에 대한 경험과 노하우를 전수하기 위해 이번 달 에티오피아 산림공무원을 한국으로 초청해 연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일자리 창출·국제기구 설립으로도 확산

한국의 해외산림자원개발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현지에 산림휴양센터 건립 등이 그것이다. 산림청은 12억 8000만원을 들여 인도네시아 롬복섬 뚜낙지역에 산림휴양 및 생태관광 센터를 2018년까지 짓기로 했다. 산림청은 이곳에서 인도네시아의 고위 관리나 지역 주민을 상대로 생태관광의 기본 개념과 한국의 생태관광 사례 등을 내용으로 강의한다. 또 인도네시아 관리 등을 한국으로 초청해 충남 서천 국립생태원·전남 순천만자연생태공원 등을 견학시킬 계획이다.

산림청은 카자흐스탄 아스타나 시에 정자가 있는 전통 한국식 정원(1.2ha)도 조성한다. 2017년 6월까지 17억원을 들여 조성하는 정원에는 소나무와 자작나무 등 현지 향토 나무를 심고 산책로를 만든다. 산책로는 카자흐스탄 영토 모양으로 조성한다. 산림청 관계자는 “한국식 정원은 한국과 카자흐스탄의 협력 상징물로 아스타나 시민과 방문객의 휴식공간과 우리 기업의 한국 홍보장소로 활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해외산림자원 개발로 일자리도 창출한다. 2009년부터 산림분야 전공 대학생 40명을 선발해 해외 조림현장에 파견한다. 대학생들은 인턴기간에 연간 1000만원 정도의 급여를 받고 일하며 상당수는 정규직으로 채용된다.

한국은 산림분야 국제기구 설립도 주도했다. 2012년 9월 출범한 아시아산림협력기구(AFoCO, Asian Forest Cooperation Organization)가 그것이다. 아시아산림협력 기구에는 아세안 10개국과 몽골·카자흐스탄·부탄·동티모르 등 14개국이 참여하고 있다. 이 기구는 한·아세안 국가 간 사막화 방지, 훼손된 산림 생태계 복구 등 산림 재해 방지, 산림의 지속가능한 이용, 산림 관리능력 배양, 기술 이전과 연구 개발 등을 한다. 아시아산림협력기구 사무국은 서울 여의도에 있다.

하지만 해외산림자원개발의 과제도 많다. 화력발전소에서 배출하는 미세먼지를 줄이려면 에너지원을 석탄에서 목재 펠릿 등 바이오매스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재 전국의 53개 화력발전소에서 사용하는 목재 펠릿 양은 연간 100만t정도로 석탄 등 전체 에너지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산림청 에너지산업과 최서희 사무관은 “해외 조림을 통하거나 아니면 국내 조림으로 화력발전소에서 사용하는 목재 펠릿 양을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몽골 조림사업에 더 많은 한국 지자체와 기업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재 중국이나 몽골 등에서 나무심기에 참여하는 광역 지자체는 서울과 경기뿐이다. 전의찬 세종대 환경에너지공간융합학과 교수는 “중국·몽골과 한국의 지자체 간의 황사 정보 및 기술교류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 중국 네이멍구=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

201607호 (2016.06.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