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미술시장 침체기가 아니라 조정기네덜란드에서 발표한 테파프(TEFAF)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세계 미술시장 규모는 638억 달러로 2014년 688억 달러에서 7% 감소했다. 23%나 하락한 중국 미술시장 영향이 컸다. 영국 시장도 9% 하락했다. 하지만 100만 달러 넘는 가격에 거래된 상위 1% 예술품 거래 금액은 9% 증가했다.김 교수는 “세계 경제와 미술시장이 불안해지자 미술 컬렉터들이 신뢰할 수 있는 작품 위주로 투자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25년 만에 최고가 기록을 갱신한 피카소와 모딜리아니가 좋은 예다. 투자가 많이 필요하지만 가치 안정성이 높은 유명 작가의 작품에 투자자들이 몰렸다.전반적인 미술 시장은 위축된 모습이다. 경매에 오른 작품수가 줄었고, 거래 금액도 감소했다. 하지만 김 교수는 시장을 침체기가 아니라 조정기라고 본다. 그는 “시장이 위축된 것은 맞지만 작품 거래는 꾸준하다”며 “조정 단계가 지나고 거품이 걷히면 다시 시장이 성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앞으로 어떤 종류의 미술품이 성장할지 파악하는 일도 그의 업무다. 김 교수는 미술계 큰 손의 움직임에 주목한다. 피카소 작품을 구매하는 이들이 관심을 보이는 작가의 작품이 블루칩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 그는 지금 제3세계 현대미술에 주목하고 있다. 지난 수년간 소더비와 크리스티에서 한국·브라질·일본·쿠바 작품 거래가 늘었다.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예술운동과 미술가를 재조명하는 시도도 많아졌다. 김 교수는 “세계 각지에서 저평가된 작가를 찾는 움직임이 보인다”며 “관심이 높아지며 제3세계 현대미술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브라질 네오 콘크리티즘 작가들이 좋은 예다. 1960년대 브라질 현대 미술을 주도한 네오 콘크리티즘은 정치·사회적인 의미를 작품에 담아 표현해온 미술 양식이다. 미국에선 지난 2~3년 사이 네오 콘크리티즘 주요 작가인 리자아 클라크, 프란츠 웨이즈만, 세르지오 카메로의 작품 거래가 늘었다.한국 단색화도 화제다. 1970년대 한국의 추상회화 운동인 단색화는 2년 만에 세계에서 가장 주목 받는 미술품으로 떠올랐다. 해외 미술계 인사들도 서구 미니멀리즘이나 일본의 모노크롬(Monochrome)과 구별해 ‘단색화(Dansaekhwa)’라는 고유명사로 부른다. 단색화는 해외 유수의 경매나 아트페어에도 인기다.
한국 단색화 박서보·정상화 작품 인기단색화 대표 작가인 박서보의 작품은 지난해 경매에서만 120억원어치가 거래됐다. 단색화 거장 정상화 화백은 미국 뉴욕의 갤러리 도미니크레비(6월 1일~7월 30일)와 그린나프탈리(6월1일~8월 5일)에서 개인전을 시작했다. 뉴욕 갤러리 두 곳에서 한 작가의 개인전을 공동 개최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김 교수는 미국 현지에서 한국 미술을 향한 관심을 피부로 느끼고 있다. 한국 추상미술의 대가 고 김환기 화백이나 한국 전위예술의 선구자인 이승택 작가는 소더비에서도 꼽히는 인기 작가다. 그는 “세계 미술 시장의 흐름이 한국 미술계에 유리하게 흐르고 있다”며 “이런 흐름을 잡아야 한다”고 말했다.나아가 한국의 젊은 작가들이 성장할 수 있는 토대를 쌓는 일도 강조했다. 한국 같이 긴 컬렉팅 히스토리가 있고, 갤러리 프로그램이 있는 나라 많지 않다. 지금 한국 갤러리 시장은 굉장히 알려진 이름이 있는 작가 위주로 쏠리고 있다. 좀 더 실험적이고 아직 유명하지 않은 젊은 작가도 한국 내에서 자라고 성장할 수 있는 길이 열려야 미술 산업이 발전한다.“젊은 작가들이 한국을 떠나 뉴욕·파리·베를린에서 빛을 본 다음에야 돌아옵니다. 젊은 예술가들이 한국에서 성장해서 글로벌 시장에 인정 받는 사례가 많아져야 합니다. 한국 미술이 깊어져야 세계 시장에 내놓을 수 있는 작품도 많아집니다. 멀리 보며 젊은 작가들이 뿌리를 내리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 생겼으면 좋겠습니다. 해외투자자들이 더 많은 한국 작품을 찾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글 조용탁 기자·사진 김춘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