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CEO는 저마다 다르다. 누군가는 나서기를 좋아하고 말이 많지만, 내향적이고 스스로를 드러내지 않는 이도 있다. 부유한 집안에서 태어나 엘리트 코스를 밟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적수공권으로 밑바닥부터 시작해 최정상에 오른 사람도 있다. 그러나 이들이 전하는 메시지는 대체로 한결같다. 인물은 제각각임에도 이들이 성공에 이르기까지 관철해온 철학과 비전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현역으로 활발히 뛰고 있으면서 다음 행보가 기대되는 글로벌 CEO 7인의 경영철학을 모아봤다.
지난해 1779억 달러(약 200조원)를 기록한 매출에 비하면 아마존의 순이익은 초라하기 짝이 없다. 아마존의 지난해 순이익은 31억 달러, 순이익률은 1.7%에 불과하다. 이윤을 고려하지 않는 파격적인 가격 정책과 매출 대부분을 미래 사업 및 인수합병에 재투자하는 경영방침 때문이다. 미국 온라인 매체 슬레이트가 “아마존은 소비자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 투자자 집단이 운영하는 자선단체”라는 평까지 했을 정도다.이 같은 경영전략의 중심엔 아마존 설립자 제프 베조스가 있다. 베조스는 장기적 사고의 신봉자다. 분기 단위로 실적을 결산하고 손익을 따지는 일반 기업과 달리 베조스는 5~7년 단위로 사업을 구상한다. 베조스는 2013년 경영전문지 하버드비즈니스리뷰 인터뷰에서 “우리가 벌이는 모든 사업은 회사에 이익이 되기까진 많은 시간이 걸리지만 고객에겐 즉각 이익이 되는 것들”이라며 아마존이 장기적 사고에 입각해 운영되고 있음을 밝혔다.이를 위해 베조스가 강조하는 아마존의 핵심 가치가 바로 첫날(day one) 정신이다. 베조스는 “초심을 잃고 둘째 날이 되는 순간 조직은 추락한다”며 “나는 지난 20년 동안 ‘오늘이 아마존 첫날’이라고 말해왔다”고 밝혔다. 회사 규모가 커졌다고 해서 처음 사업을 시작하던 스타트업의 정신을 잃어서는 안 된다는 의미다.첫날 정신은 아마존이 스타트업처럼 기민한 혁신 주도형 기업문화를 유지하는 원동력이다. 베조스는 “혁신엔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초기엔 투자자들의 이해를 받기 어렵다. 매일 첫날과 같은 자세로 장기적인 관점을 견지해야 비판을 견뎌내고 혁신을 완수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아마존은 ‘오너십을 갖고 장기 과제를 실천할 것’, ‘계속해서 혁신할 것’ 등을 직원들이 따라야 할 경영 원칙으로 삼고 말단 직원에게도 많은 자율권을 부여해 혁신을 독려한다.스타트업 같은 문화가 직원들에게 좋기만 한 것은 아니다. 초기 단계의 스타트업은 대개 시장에 빨리 정착하기 위해 직원들에게 가혹한 희생을 요구하곤 한다. 20년이 넘도록 이윤 창출보다 새로운 사업을 모색하는 ‘만년 스타트업’ 아마존의 기업문화도 혹독하기로 악명 높다. 직원들에게 자율권을 충분히 주는 만큼 결과에 대해선 가차 없이 책임을 묻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