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umn

로컬마켓과 골목문화, 온라인으로의 확장 

 

우리나라에서도 서서히 로컬 문화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과거에는 강남, 명동, 압구정 등 일부 지역에만 사람이 모이고, 그 지역 상권에서만 소비가 크게 일어났다. 하지만 지금은 양상이 바뀌면서 더는 도시의 중심지를 고집할 이유가 없어졌다.
줄리아 로버츠와 휴 그랜트 주연의 [노팅힐](1999)이라는 영화를 보면 유명 영화배우로 나오는 여주인공이 남주인공을 만나는 장소가 다름 아닌 로컬마켓이다. 미국이나 유럽의 로컬 문화를 보면 이 영화의 배경이 그다지 허무맹랑하지만은 않다. 미국처럼 땅이 넓은 나라에서 농산물을 옮기려면 동에서 서로, 남에서 북으로 이동하면서 물류를 이용해야 한다. 트럭이나 기차 같은 수단을 이용해 옮기면 석탄이나 기름을 사용할 수밖에 없고, 이는 곧 가격 상승과 환경오염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비합리적인 낭비를 막고, 지역의 특성과 다양성, 삶의 질과 사회적 가치를 강조하기 위해 미국이나 유럽 등지에서는 1970년대부터 로컬마켓이 아주 보편화됐다.

로컬마켓에서는 소규모로 농산물을 재배하고, 이동시간이 길지 않기 때문에 신선한 제품을 일반 시민에게 즉각 제공할 수 있고, 중간 유통 단계가 줄어들기 때문에 가격도 합리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유리하다. 도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다면 이쪽이 훨씬 더 삶의 메커니즘에 적합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대 중반부터 골목상권이라는 형태로 로컬마켓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예술가적 성향의 사람들이 모여 공간의 차별성을 만들어낸 홍대 거리와 가로수길, 오래된 한옥이 남아 있는 골목을 중심으로 고즈넉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삼청동과 외국 문화의 집결지인 이태원, 이 네 상권이 중심이 된 것이다. 이후 홍대 주변에 문화시설을 세우고 경의선 숲길을 조성하면서 합정, 상수, 망원, 연희, 연남까지 골목상권 영역이 확대됐다. 삼청동은 북촌과 예술가들이 많이 모여 살았던 골목길 서촌까지 영역을 넓혔다. 그 외에도 을지로, 익선동, 해방촌, 성수동 등 수많은 골목상권이 생기며, 개성 있고 특색 있는 동네 브랜드가 모인 골목이 자연스럽게 지역 발전을 견인하고 있다.

로컬마켓이 좋은 이유는 그 지역 사람들에게는 매일 만나는 일상이지만, 타지 사람들에게는 이전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감성과 분위기를 느끼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차별성이야말로 골목상권의 경쟁력이며, 소비자들이 열광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 로컬마켓과 골목상권의 아이템들을 온라인에서 구현하는 부분들은 미흡해 보인다. 어느 재한 외국인이 우리 한국인의 삶을 가장 잘 살펴볼 수 있는 곳은 촘촘히 얽혀 있는 시장과 골목길이라고 말했던 것을 본 기억이 있다. 우리 삶의 일부라고 할 수 있는 로컬마켓과 골목문화들을 온라인에서 접할 수 있게 한다면 우리의 삶을 온라인에 옮겨놓은 라이프스타일 마켓으로 발전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 손창현 OTD 코퍼레이션 대표

202008호 (2020.07.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