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관련 데이터 사업을 하는 전문가로서 이에 대한 의견을 내보고자 한다.앱스토어는 무수한 앱을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하고 있지만, 필자는 평소 앱 생태계를 크게 3가지로 나눈다. 유틸리티와 게임, 플랫폼이다.유틸리티와 게임 앱은 앱이 활성화되면 그 자체로 매출과 직결된다. 게임 앱의 매출 비중은 인앱 결제 전체 매출에서 80%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편이다. 그러나 유틸리티 앱의 경우, 인앱 결제보다는 광고 매출의 비중이 높다. 매년 두 자릿수 성장을 이뤄내고 있는 유틸리티 앱들의 광고 매출도 무시할 수 없는 규모다.유틸리티 앱과 게임 앱의 예를 살펴보자. 유틸리티 앱 중 ‘알라미’라는 간단한 알람 앱이 있다. 딜라이트룸이라는 회사가 개발했는데, 사용자 450만 명을 기반으로 2021년 매출 131억5000만원, 영업이익 63억원을 기록했다.한편, O2O, 이커머스, 핀테크 등 플랫폼 비즈니스에서 개발, 운영하는 플랫폼 앱은 인앱 결제나 광고 매출 등으로 직접적인 부가가치를 일으키기보다 UI/UX 혁신을 통해 새로운 경험과 편리성을 제공하는 역할이 더 크다. 플랫폼 비즈니스에서 앱은 하나의 수단이지, 사업의 전부는 아니라는 것이다. 물론 플랫폼 비즈니스에 대한 투자가 이뤄지는 과정을 보면, 앱 지표를 기반으로 한 시장점유율도 매우 중요한 평가 항목이다. 그러나 플랫폼 비즈니스에서 매출과 영업이익을 내는 구조는 앱 외의 요소가 더 중요하게 여겨진다.플랫폼 앱의 예시로 마켓컬리와 오아시스마켓을 비교해보자. 두 기업의 모바일앱 잔존 설치기기 수는 2022년 4월 현재 마켓컬리가 600만, 오아시스마켓은 60만으로 10배가량 차이가 난다. 두 앱의 MAU(Monthly Active Users, 월간 활성사용자)는 마켓컬리가 300만 명, 오아시스마켓이 20만 명으로 15배가량 차이가 난다. 그러나 두 기업의 2021년 매출을 보면 마켓컬리가 1조5614억원, 오아시스마켓은 3570억원으로 4.3배밖에 차이가 나지 않는다. 영업이익은 마켓컬리가 -2,177억원, 오아시스마켓은 57억원 흑자로 큰 차이를 보인다. 기업가치는 마켓컬리가 4조원, 오아시스마켓은 1조200억원으로 평가된다. 이처럼 앱 지표를 기반으로 기업가치를 인정받아 투자금을 확보한 플랫폼 회사는 상당수 존재하나, 매출 및 이익을 내지 못해 고전하는 경우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