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법률시장 게임 체인저 생성형 AI와 리걸테크] 이건복 마이크로소프트 개발자 리드 

리걸테크, 업무 혁신에 어떻게 활용할까 

이진원 기자
일상 문서 작성 업무에서 생성형 AI 활용이 눈앞으로 다가왔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아웃룩 등 업무 생산성 도구 전반에 대규모 언어 모델(LLM)과 비즈니스 데이터를 결합하는 마이크로소프트 365 코파일럿(Microsoft 365 Copilot)을 공개했고, 현재 전 세계 600여개 기업과 테스트 중이다. 특히 법률 콘텐트 및 데이터와 생성형 AI 기술을 융합한 지능형 검색·요약 솔루션이 빠르면 올 하반기부터 국내에 보급될 것으로 보인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이건복 개발자 리드를 만나 기업들의 관련 니즈와 주요 이슈에 대해 들었다.

“아직 공개되지 않은 코파일럿에 대해 현재 국내 기업 경영진의 문의가 많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의 생성형 AI 적용은 문서 작성과 내부 업무를 지원하는 기능이 특화돼 있습니다. 특히 많은 양의 내부 문서를 빠르게 검토하고 요약·정리해, 제안서나 계약서 등 특정 목적의 문서 작성에 활용할 수 있어요.”

이건복 마이크로소프트 솔루션사업부문 리드는 생성형 AI의 업무 활용에 대해 간단한 사례를 들어 설명했다. 보험·금융사의 약관 문서는 보통 20페이지가 넘는다. 공급자와 수요자 모두 이 내용을 다 읽어보고 꼼꼼히 검토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AI 지원 기능을 이용하면 서비스 상품에 대한 주요 내용, 변경 사항, 주의 사항 등을 빠르게 검토할 수 있다. 이 리드는 “소비자와 현장 영업자 모두에게 꼭 필요한 지원 서비스”라며 “개인 맞춤형 서비스는 기업들이 그동안 추구해온 바이며, AI지원 기능이 다양한 서비스에서 이를 가능케 한다”고 말했다.

특히 법무와 관련해 판례, 조항, 규정, 관련 분야 전문 지식 등은 법률 전문가가 이해하고 검토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 리드는 “리걸테크의 핵심은 물리적인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여준다는 점”이라고 강조한다.

“AI 기술 적용은 법률 상담부터 법 문서 작성까지 법률대리인을 대체하기보다는 업무를 보조하며 소요 시간을 크게 줄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합니다. 기계적인 단순 작업은 AI가 하고 전문가는 창의적 작업과 클라이언트 대응에 더욱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죠. 일례로 계약서 작성 및 검토에 기존에 빠르면 4~5일이 소요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AI를 활용해 몇 시간 검토하고 당일에 계약 체결까지 이뤄진다면 나머지 시간에 더 많은 기회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최근 일본이 AI 기능을 활용한 리걸테크를 빠르게 발전시키고 있는 배경에 대해 이 리드는 같은 맥락으로 설명했다. “일본에서는 모든 사항을 문서화하는 것이 하나의 문화이므로 기본적으로 생산량과 관련 업무량이 막대하다”며 “그래서 인력의 한계를 넘어 시간을 줄이고 생산량을 더 늘리기 위해 AI 기술을 도입하는 데 적극적”이라고 분석했다.

생성형 AI 등장으로 리걸테크 급물살

리걸테크는 지난 수년간 빠르게 발전해왔으나 올해 생성형 AI가 적극적으로 도입되면서 업무 활용이 급가속화했다.

“기업 법무팀과 로펌에서 이미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있어요. 법률 정보를 검색하고 문서를 작성하는 데 활용했죠. 하지만 사용자는 프로그램 이용법을 학습하고 빠르게 운영할 수 있어야 비로소 생산성을 높일 수 있어요. 하지만 최근의 AI 기능은 사용자가 일반 언어의 대화형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획기적으로 바뀌었습니다. 즉, 특정 사항에 대해 ‘판례를 검색해줘’, ‘서로 비교해줘’라고 빠르게 입력하고 결과물을 얻을 수 있어요.”

하지만 법무 관련 업무에서 AI 기능 적용은 법률 문서를 작성하는 단계로 나아가는 것까지는 아직 조심스럽다. 법률 문서의 내용 중에는 민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리걸테크가 법무를 대체하는 수준으로 확대하는 데 경계선을 긋는 주된 이유다.

“생성형 AI가 작성한 내용에 잘못된 부분이 포함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어요. 그래서 현재 검색 위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생성된 콘텐트에 대한 구체적 출처를 명시하고 확인하는 작업이 중요합니다. AI의 법무 활용이 다음 단계로 넘어가면 정보를 서로 연결하고 교차 확인하면서 오류를 획기적으로 줄여나갈 수 있을 겁니다. 최근 AI 활용에 대한 연구개발은 투입되는 학습 정보량을 늘리고 교차 확인해 신뢰도를 높이는 작업이 중심입니다.”

이 리드는 AI 활용이 이제는 거스를 수 없는 환경에 접어들면서 기업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도입하는 곳이 혜택을 극대화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것이다.

“일부 기업에서 AI 사용을 규제하는데, 여기에는 득과 실이 있습니다. AI를 활용하지 않아도 경쟁력이 있다면 모르겠지만 이제 피하기 어려운 환경으로 넘어갔습니다. 기업에 전하고 싶은 메시지는 첫째, AI 도입에 대한 거부감, 두려움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많은 임직원이 AI 기능의 활용을 이해하고 있고 기대 수준도 높아졌습니다. AI를 적용할 준비가 안 돼 있는 경우, 이 기술의 활용은 사용자로부터 멀어질 수 있습니다.

둘째, 보안 때문에 회사 정보를 내부 시스템 안에서 관리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기업이 많습니다. 오히려 내부 시스템보다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안전하다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AI 활용을 위한 기업 정보 연결을 위해 클라우드 활용이 선제되어야 할 것입니다.

셋째, 신기술 도입과 관련한 기업문화를 구축해야 합니다. 리더십 차원에서 AI 기술 변화를 감지하고 기업문화 차원에서 임직원 모두와 공유해야 합니다. 도입 단계에서 시행착오는 있을 수 있으나 실패를 용인하고 개선하려는 유연한 문화가 없다면 신기술 도입은 더뎌질 것입니다. 최근 빅데이터, 챗봇 등 신기술 도입을 시도했지만 효과를 충분히 거두지 못한 사례가 있는데, 이는 기술 문제가 아니라 디지털전환 문화의 한계로 인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 리드에 따르면, 국내 대기업, 중견기업, 스타트업 등이 자사 서비스를 AI 시스템과 연동하려는 시도가 그 어떤 나라보다도 높다. 더 나아가 공공서비스, 금융 등 규제가 많은 서비스 등에서도 조심스럽게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그는 AI 활용에서 유념해야 할 주의 사항도 전했다.

“생성형 AI는 말을 만들어내는 서비스이기 때문에 요청에 따라 윤리성이 확보되지 않은 선정적·폭력성·위험성 콘텐트를 내뱉을 수도 있어요. 특히 법률 관련 콘텐트를 생성하는 과정에 편견적·차별적 콘텐트가 포함되는 경우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죠. 생성형 AI 솔루션 도입을 검토하고 도입할 때는 윤리성을 함께 검토하고 개인정보보호, 보안, 투명성 등에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 이진원 기자 lee.zinone@joongang.co.kr / 사진 김상선 기자

202309호 (2023.08.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