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과 사람

Home>월간중앙>사람과 사람

다시 부르는‘일본판 쉰들러’ 讚歌 

[틈새인터뷰] 정준영 후세 선생을 연구하는 모임 대표
독립운동가를 도운 한 일본인 변호사에 빠진 남자
“잊혀진 변호사 후세 발굴·서훈 주도…외국인 독립유공자 기념관 추진해야” 

이항복_월간중앙 기자 boong@joongang.co.kr
제국주의 침략전쟁 시기 독일에 쉰들러가 있었다면(최근 한 저명한 역사학자는 “인도주의자 쉰들러는 없다”는 주장을 폈다) 일본에는 후세 다쓰지(布施辰治 1880~1953)가 있었다. 쉰들러의 뒤에 그의 행적을 기록과 영화로 남긴 토머스 케넬리와 스티븐 스필버그가 있다면 후세 다쓰지 뒤에는 정준영(鄭畯泳·67·‘후세 선생을 연구하는 모임’ 대표)이 있다.



후세 다쓰지는 사회주의의 영향을 받은 일본인 인권변호사로 일본 제국주의를 질타하고 우리 독립운동가들을 위한 무료 변론 등을 통해 한국의 독립을 옹호한 인물이다. 우리 정부는 그의 공적을 인정해 2004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2406호 (2024.05.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