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독일 ‘아우스빌둥’에서 배운다] 인터뷰 _ 빈프리트 베버(Winfried W. Weber) 만하임응용과학대 소장 

“아우스빌둥으로 중소기업 살고 균형사회 이뤘다” 

한국 도입 4년 차에 불과한 독일 아우스빌둥의 역사는 180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독일에서는 해마다 청년 50만 명이 320여 개 분야 아우스빌둥 트레이니로 등록한다. 빈프리트 베버(Winfried W. Weber) 만하임응용과학대 교수는 독일의 미텔슈탄트(Mittelstand, 독일 중소·중견기업) 성공 모델 분석의 세계적 권위자로 꼽힌다. 한국 중소·중견 기업도 함께 연구하며 한국 사회에 영감을 주고 있다. 7월 17일 베버 교수와 전화 인터뷰를 진행했다.

▎빈프리트 베버 교수는 “아우스빌둥으로 지역 경제가 활성화 되면 히든챔피언 기업이 많아질 수 있다”며 “정부와 기업이 함께 해야 동반 성장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 사진:지미연 객원기자
독일의 아우스빌둥 현황을 알려달라.

지난해 9월 기준 학생 52만 명이 326개 분야 직업 트레이니로 등록했다. 독일 10대 후반의 50% 이상이 아우스빌둥을 선택한다. 엔지니어, 자동차 등 제조 산업(58%), 수공업(27.2%), 자영업(9%) 순이다.

프로그램은 어떻게 이뤄지고 있나.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3~4일은 회사에 가고 하루나 이틀은 직업전문대학교에 이론 수업을 듣는다. (한국은 거리상 학교와 현장에 가는 기간을 학기별로 구분했다.)

독일의 대학 진학률은 30%에 불과한데 청년 취업률은 60%에 이른다. 비결이 뭔가.

독일 학생들은 초등학교 시절부터 실제 직업군을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받아 진로 선택에 더 신중할 수 있다. 아우스빌둥으로 채용하는 기업의 70%는 실제로 중소기업이다. 아우스빌둥이 상대적으로 인프라가 부족한 소규모 기업의 생산성에 기여한다는 것이 오래전부터 입증되면서다.

독일에서 아우스빌둥은 언제 시작됐나.

노동자를 훈련하고, 교육하고 인재를 지원하는 이원화 체계의 최초 모델은 페르디난트 폰 슈타인바이스(1807~1893) 박사가 만들었다. 젊은 시절 3년간 독일 남서부 금속 공장에서 트레이니로 일한 뒤 지금의 이원화 교육을 구축하는 데 힘을 쏟았다. 윌리엄 왕 1세가 기술고문직에 그를 임명하며 이원화 교육은 탄력을 받았다. 그는 새 인재와 기업가를 육성했다. 엔지니어였던 다임러 그룹의 창립자 고틀리프 다임러가 수혜자다. 한 사람의 머리에서 이런 아이디어가 나왔다는 게 대단하지 않나.

아우스빌둥의 사회적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가.


쉽게 말해 개인은 물론 사회, 경제 전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독일의 산업 중 최고의 기술력을 자랑하는 제조업이 발달한 건 오랜 시간에 걸쳐 아우스빌둥을 통해 고숙련 인재를 양성해왔기 때문이다. 균형 사회(Balanced society)의 관점에서는 소도시부터 활발하게 이뤄진 덕에 히든챔피언(강소기업)이 많아져 지역 경제가 활성화됐다. 균형 사회가 되려면 실제로 많은 중소·중견 기업이 지원해줘야 한다. 독일 정부에서는 지금도 3~4명이 일하는 소기업이 아우스빌둥을 운영하도록 적극 독려한다. 정부와 기업이 함께 일하는 구조가 되니 동반 상승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아우스빌둥 프로그램이 성공한 이유는 무엇인가.

아우스빌둥은 단순한 교육과 달라서다. 잠재력을 가진 유능한 인재들을 어린 나이에 유입하는 채용 방법이다. 교육 방식이 완전히 ‘실용 중심(practical oriented)’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재능 있는 사람을 지원하고, 강점에 집중한다. 학교에 몸담은 나는 학생들의 ‘진짜 재능’을 알기가 어렵다. 학술적인 이론과 토론이 중심인 학교에서 찾지 못하는 진짜 강점을 집중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 하는 점이 아우스빌둥의 장점이다.

실제로 기업에서 ‘선투자’ 하듯 인재를 양성한다는 점에서 재정적으로 부담을 갖지 않을까.

오히려 재정적인 면에서 훨씬 이득이다. 아우스빌둥의 트레이니는 10대 시절 3년간 현장에서 실무를 배운다. 경력이 쌓인 30대를 뽑는 비용보다, 젊은 10대 친구에게 3년간 투자해 숙련자로 키워 일하는 게 훨씬 빠르고 효율적이다. 숙련 기술 퀄리티는 오랜 아우스빌둥 시스템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다.

프로그램 졸업 후 이들의 이직률을 낮추는 정책이 따로 있나.

충성도(loyalty). 아우스빌둥 프로그램의 가장 큰 요지는 ‘관계 설정’이다. 모든 인간은 비슷하다. 어떤 조직이나 함께 호흡하고 관계를 맺은 사람에게 눈이 간다. 독일 젊은이들이 아우스빌둥 프로그램을 졸업한 회사에 다니는 경우가 훨씬 많은 이유다.

직장 동료 관계가 돈독해진다고 들었은데.

맞다. 독일에서 아우스빌둥이 이렇게 확산될 수 있었던 건 상당수 가족기업 등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들이 트레이니 한두 명에게 투자하고 성장하게 도우며 쌓은 신뢰 덕분이다. 가족기업에서 일하는 경우에는 ‘직장 상사’가 아니라 또 하나의 가족관계처럼 친밀함이 생긴다.

한국에서 정착되기 위한 조건은 뭘까.

제조업이 강한 한국은 가능성이 많다. 연구하며 느낀 건 한국 사람들이 ‘평판’에 많이 신경 쓴다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내 딸도 사진을 공부하고 싶어 19살에 아우스빌둥 프로그램에 지원했다. 한국 교수에게 물어보니 학자의 자녀가 사진을 전공한다는 것은 한국에서 보기 힘든 일이라고 하더라. 유명한 대학교를 나와서 이름이 잘 알려진 기업에 가는 것 말고도 기술직에서 충분히 전문성을 살리고 행복하게 살 수 있다는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본다.

- 박지현 기자 centerpark@joongang.co.kr

202008호 (2020.07.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