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심리학자 버러스 스키너(B. F. Skinner)에 따르면, 사람들은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행동은 습관적으로 반복하고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행동은 피하도록 학습된다고 한다. 이를 ‘조작적 조건화(Operant Conditioning)’라고 부른다. 그는 ‘스키너의 상자’라고 불리는, 실험용 쥐를 위한 특별한 상자를 만들었다. 상자 한쪽에 레버 두 개가 있고, 쥐가 A 레버를 만지면 전기충격이 가해지고 B 레버를 만지면 음식이 주어졌다. 쥐는 시행착오를 반복한 끝에 ‘A 레버는 전기충격,’ ‘B레버는 음식’이라는 연관성을 학습했다. 그뿐만 아니라 시간이 갈수록 쥐가 A 레버를 움직이는 빈도보다 B 레버를 움직이는 빈도가 증가했다. 이처럼 원하는 것을 줌으로써 행동 빈도를 높이는 것을 ‘강화(Reinforcement)’라고 하고, 원하지 않는 것을 줌으로써 빈도를 낮추는 것을 ‘처벌 (Punishment)’이라고 부른다. 스키너는 음식을 얻는 강화와 전기충격을 주는 처벌로써 쥐를 학습한 것이다. 징크스는 이러한 조작적 조건화로 만들어진다.보통 때보다 미팅을 잘했거나 시험을 잘 본 날이면 나는 그에 대한 그럴듯한 원인을 찾기 시작했을 것이다. 그러다가 보면 ‘그러고 보니 오늘 아침에 평소에 먹지 않던 콩나물국을 먹었잖아’ 또 ‘나는 초록색을 좋아하니까, 초록 시계가 나한테 좋은 기운을 주는구나’라고 의미를 부여했을 것이다. 징크스는 이렇게 관계없는 것들 사이에 연관성을 부여하는 과정이며, 강화와 처벌을 반복하면서 징크스는 더더욱 강력해진다. 이제서야 콩나물국을 졸업하나 싶더니, 또 다른 징크스의 노예가 되어 있다.이렇듯 징크스는 심리적 안정감을 얻으려는 인간의 위대한 발명품이기도 하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끊임없이 생기는 부담감, 긴장감, 불안감으로부터 우리를 지켜주니까. 자신의 능력이 부족해서 면접에 떨어진 거라고 내부에서 문제점을 찾기보다는, 외부 환경을 탓하는 게 정서적으로 더 쉽다. 반대로 나처럼 중요한 미팅에 들어갈 때 초록 시계를 차고 왔으니 좋은 결과가 있을 거라는 생각도 긴장감을 완화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