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종.심층취재

Home>월간중앙>특종.심층취재

[입체분석] 강남은 왜 보수의 아성이 됐나 

스카이라인도, 정치지형도 20년 만에 ‘상전벽해’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
3당 합당 시절에도 명함 못 내밀던 강남 3구가 ‘보수 텃밭’이 된 이유… “20대 총선에선 보금자리주택사업이 여야 후보 당락의 변수 될 수도”

▎20대 총선에서 강남 3구의 7개 지역구마다 새누리당에서는 전·현직 의원들이 두세 명씩 출사표를 내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반면 더민주당에서는 강남을에 출마하는 전현희 전 의원을 제외하면 다소 중량감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는다. / 사진·중앙포토
20년 전만 해도 한국 정치는 ‘여촌야도(與村野都)’가 대세였다. 서울의 강남마저 야권 성향이 압도적이었다. 그런 곳이 최근 몇 년 새 야당의 ‘험지’로 뒤바뀌었다. 부동산 폭등, 종부세 도입이 중요한 원인이란 분석이 뒤따랐다. 강남 민심은 20대 총선에서도 보수 후보에게 몰표를 줄까?

“승부를 겨뤄볼 수 있는 ‘격전지’로 불러주는 것 자체가 큰 변화입니다.”

2012년 19대 총선에서 서울 강남갑에 출마한 당시 민주통합당 정동영 후보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 말이다. 4선 의원에, 야당의 대권후보로 출마까지 했던 거물급 정치인이라서 ‘엄살’로도 들릴 법했다.

하지만 뚜껑을 열어보니 결코 엄살이 아니었다. 정 후보는 갓 정계에 입문한 새누리당 김종훈 후보에게 20%포인트 차로 패배했다. 야권의 ‘험지’로 불리는 강남의 위력이 재확인 된 순간이었다. 실제로 2000년 이후 이 지역의 선거에서는 ‘새누리당=당선’이라는 공식이 일반화됐다. 새누리당 후보들은 높은 당선율을 보였다. 강남 7개 선거구 가운데 송파을·병을 제외한 5개 지역구는 늘 새누리당 차지였다. 특히 강남·서초구에서는 한 번도 야당에 자리를 내주지 않았다.

이번 선거에서도 서울 강남에는 새누리당 소속 전현직 의원과 대통령의 측근들이 몰려들며 ‘경선 전쟁’을 예고하고 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의 한 관계자는 “두 번 선거하기가 싫다. 쉽게 말해 수능 안 보고 수시입학 하고 싶은 심리다”라고 설명했다. 예선(당내 경선)을 통과한 뒤 본선(총선)을 치러야 하는 다른 지역구와 달리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는 “예선만 통과하면 된다”는 인식 때문에 사회 경력이 화려하고 당내 기반도 탄탄한 인사들이 강남 지역에 너도나도 출사표를 던진다는 이야기였다.

하지만 2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이야기는 달라진다. 당시 강남은 서울에서 대표적인 야도(野都)에 가까웠다. 여당 후보가 야당 후보에 맥을 못 췄다. 지난 20~30년에 무슨 일이 벌어진 걸까?

1990년대엔 야권 ‘텃밭’이었던 서울의 부촌(富村)


▎노무현 정부는 부동산 과다 보유자에 대한 과세 강화와 투기 억제, 조세 형평성 등의 취지로 2005년 종합부동산세(종부세)를 시행했다. 그러나 ‘세금 폭탄’을 우려한 강남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2007년 5월 종부세 인하 요구 시위에 나선 주민들. / 사진·중앙포토
“그때는 ‘여촌야도(與村野都)’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서울 시민은 대체로 정부여당에 비판적인 정서가 많았죠.”

강남구 대치동에 사는 김영섭(71) 씨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내 평생 ‘1번’에 동그라미를 찍을 날이 오리라고는 한 번도 생각한 적이 없다”고 말했다. 1970년대 후반부터 을지로에서 대학 동기와 작은 무역회사를 운영했던 그는 여당에 비판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김씨는 민주화 물결이 몰아치던 1987년 6월 회사 직원들과 함께 어깨동무를 하고 ‘호헌철폐, 독재타도’를 외치며 종로 거리를 누비던 넥타이부대로도 활동했다. 투표 성향도 다르지 않았다. 1983년 반포동에 살다가 1992년 지금의 대치동으로 이사한 그가 찍은 후보는 1988년 총선에서 통일민주당 김덕룡(서초을) 의원을 시작으로 1992년 총선 민주당 홍사덕(14대 강남을), 1996년 총선 무소속 홍사덕(15대 강남을) 등 야권 인사뿐이었다.

대선 때도 마찬가지였다. 1992년 대선에서는 신정당 박찬종 후보, 1997년 대선에서는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에게 표를 줬다. 김씨는 “나뿐만이 아니라 강남 주민의 여론이 야권 후보에게 우호적이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선거 결과가 그랬다. 대통령 직선제 개헌 이후 실시된 1988년 13대 총선에서 당시 여당인 민주정의당(민정당)은 강남에서 전혀 힘을 쓰지 못했다. 강남 3구 6개 지역구 중 이태섭(강남을) 후보 한 명이 겨우 당선됐을 뿐이었다. 나머지 지역구는 무소속 박찬종(서초갑), 통일민주당 김덕룡(서초을), 통일민주당 황병태(강남갑), 통일민주당 김우석(송파갑), 평화민주당 김종완(송파을) 후보가 당선되면서 야당 돌풍을 일으켰다. 특히 압구정동, 청담동, 삼성동 등 소위 부촌(富村)이 모여 있는 강남갑에서 여당인 민정당의 정희경 후보는 불과 17.9%의 득표율을 올리며 3위에 그쳤다. 강남 3구에 출마한 여당 후보 중 가장 낮은 득표율이었다.

1992년 14대 총선에서도 결과는 같았다. 민정당은 ‘YS(김영삼)’의 통일민주당과 ‘JP(김종필)’의 신민주공화당이 합당해 민주자유당(민자당)으로 간판을 바꿔 달고 선거에 나섰지만 강남의 민심은 바뀌지 않았다. 3당 합당을 통해 강남에 3개 의석을 갖고 있었던 민자당이었지만 서초을의 김덕룡 후보만 지역구를 사수하는 데 그쳤다. 강남갑·송파갑 등 기존에 갖고 있던 2석은 도로 야당에 내줘야만 했다.

여당 출신으로 유일하게 당선된 김덕룡 후보조차도 당시 정치 신인이었던 민주당 안동수 후보와 맞붙어 불과 600여 표를 앞서는 진땀 승을 거뒀을 정도다. 야권에서 강남 6석 중 5석을 쓸어 담은 것이다. 강남갑의 통일국민당 김동길, 강남을의 민주당 홍사덕, 서초갑의 신정치개혁당 박찬종, 송파갑의 통일국민당 조순환, 송파을의 민주당 김종완 후보 등 3야당에서 골고루 당선자가 배출됐다. 이에 대해 강남의 한 전직 구청장은 “당시만 해도 여당은 강남에서 인기가 바닥이었다. 여당 후보가 선거 운동을 하며 악수라도 건네면 차갑게 지나쳐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회고했다.

하지만 20년이 흘러 지난해 4월에 치러진 19대 총선에서는 정반대의 결과가 나왔다. 강남 3구의 7개 지역구를 모두 새누리당이 차지한 것이다. 반면 야당은 이전 총선 때 한 석을 건졌던 송파병마저도 새누리당에 넘겨줬다. 한때 여권 후보에게 ‘수렁’과도 같았던 강남갑에서는 새누리당의 심윤조 후보가 65.3%의 득표율을 올리며 민주통합당의 김성욱 후보(32.8%)를 갑절 가까이 앞섰다.

종부세 도입 후 “야권 못 믿겠다” 불신 팽배


이 같은 정치적 격변의 이유는 뭘까? 가장 먼저 떠올릴 수 있는 건 지역 구성원의 급격한 변화다. 김용석 서울시의원은 “2000년대 후반 뉴타운 사업이 진행되면서 집값이 크게 올랐다. 기존 주민들이 서울 밖으로 이동하면서 야권 지지층이 많이 줄었다”고 풀이했다.

뉴타운사업이 진행됐지만 강남 지역은 서울의 다른 지역에 비해 주민의 이동이 많지 않았다고 한다. 강남구청의 한 관계자는 “80년대 주거 개발이 대부분 완료된 강남은 근래 서울에서 거주 이동이 가장 적은 지역 중 하나”라며 “매년 평균 8만 명이 이사를 오고 가는데 이중 강남구 내 이동이 3만 명이며 그 외 서초·송파구 사이에서 이동이 많다”고 말했다.

그 때문에 많은 전문가는 부동산과 세금 등 경제 이슈가 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한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1980년대 초만 해도 서울의 다른 지역과 큰 차이가 없었던 강남의 아파트값이 8학군의 영향으로 급등하면서 주민들의 정치적 성향에도 영향을 끼쳤다”고 분석했다. 그는 “대부분의 강남 중산층은 집 한 채를 갖고 있을 뿐이었지만 1990년대를 지나면서 이 집이 수억 원이 넘는 자산이 됐다. 경제적 기득권층이 된 이들이 ‘개혁’보다 ‘현상유지’를 추구하게 된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강남의 아파트값은 투표 경향의 변화상과 비슷한 흐름을 나타냈다. 압구정동 아파트의 3.3㎡(평)당 가격이 400만원대였던 1988년의 여권 득표율은 17.9%(민정당 정희경)를 기록했다. 이후 900만 원대로 오른 1996년엔 38.1%(신한국당 서상목), 2000만원 언저리까지 오른 2004년 총선에서는 마의 60%대를 돌파해 63.0%(한나라당 이종구)까지 치솟았다. 4000만원에 근접한 2008년 총선에선 64.9%(한나라당 이종구)였다.

이 같은 분위기에 기름을 부은 것이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참여정부에서 도입한 종합부동산세(종부세)라는 분석도 있다. 이현우 서강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종부세는 당초 국세청 기준시가 9억원(현재 개인별 6억원)을 초과하는 집을 갖고 있으면 누구나 내야 하는 세금이었지만 그동안 집값이 천정부지로 솟아오른 강남이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고 지적했다.

종부세가 도입된 2005년 전체 부과 대상 아파트의 64%가 강남구에 집중됐을 정도였다. 이 교수는 “강남 주민으로서는 종부세 폐지를 주장하는 한나라당에 수긍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압구정동 현대아파트에 사는 주민 최모(74) 씨도 비슷한 의견을 내놓았다. 그는 “딸들이 주는 용돈과 국민연금 등 300여 만원 정도로 생활한다. 그런데 당시 종부세로 1000만원에 가까운 세금이 나오니까 화가 안 날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이런 정서는 그대로 투표로 이어졌다. 고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소위 ‘탄핵풍’이 전국을 강타한 2004년 총선에서 제3당이던 열린우리당은 153석을 얻으며 제1당으로 뛰어오르는 압승을 거뒀다. 하지만 강남 3구에서는 전혀 다른 바람이 불었다.

‘세금폭탄’이라는 유행어가 돌면서 강남갑에 출마한 한나라당의 이종구 의원이 63.0%의 득표율로 서울 지역 최고 득표율을 기록하는 등 강남 지역 7개 선거구 중 송파을·병을 제외한 5개 지역구에서 한나라당 후보들이 50%가 넘는 득표율로 당선됐다. 홍현희(47·약사·서초구 서초동) 씨는 “당시(강남) 밖에서는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이 이슈였는지 몰라도 이곳에서는 앞으로 세금을 얼마 뜯기게 될지가 주요 관심사였다”고 말했다.

“솔직히 찍을 사람도 없다”


▎일부 전문가 사이에서는 “20여 년간 철옹성 같았던 강남 3구의 장벽에 최근 선거에서 균열이 나타난다”는 분석도 나온다. 2014년 서울시장 선거에서 박원순 후보가 정몽준 새누리당 후보를 누르고 당선된 데에도 강남 3구에서의 선전이 큰 힘이 됐다. / 사진·중앙포토
이 흐름은 2008년 18대 총선에서도 이어졌고 그런 투표 성향은 비싼 아파트가 많은 지역일수록 더욱 심화됐다. 강남갑에서 한나라당 이종구 후보는 64.9%를 얻었지만 통합민주당 김성욱 후보의 득표율은 18.3%에 그쳤다. 특히 당시 가장 비싼 주상복합아파트로 인식되던 타워팰리스에 설치된 도곡 2동 투표소에서 김 후보의 득표율은 불과 5.5%에 그쳤다. 이현우 서강대 교수는 “강남에서 종부세는 도입 취지를 떠나 이 지역 주민에 대한 징벌적 성격으로 여겨졌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사회적 동의를 얻기보다 ‘옳으니 따라와라’는 식이었다. 또 공공연하게 ‘비싼 동네’ ‘부당 소득’ 같은 이미지를 퍼뜨려 고립화시켰다. 방법론적으로 서투르고 부적절했다”고 말했다.

평생 투표에서 야권 후보만 찍을 것 같았던 김영섭 씨도 이때만큼은 한나라당 후보에게 표를 줬다고 한다. “집 두세 채 사들여 장난치는 부동산 투기꾼들을 잡아들여야 되는데 어쩌다 집 한 채 값이 오른 평범한 사람들도 세금 폭탄을 맞았다. 돈도 돈이지만 저런 사람들한테 국정운영을 맡겨도 되나 싶더라”고 말했다. 이후 김씨는 계속 한나라당을 찍고 있다. “야권은 못 믿겠다”는 이유에서다.

솔직히 찍을 사람도 없다. 하지만 강남의 정치 지형이 바뀐 이유를 종부세로만 돌릴 수 없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경제적 요인이 주요하게 작용하긴 했지만 정치적 요인도 무시할 수 없다는 이야기다. 강남 지역의 한 구청에서 근무하는 최병태(50·가명·공무원) 씨는 강남의 정치지형 변화의 시기를 1996년 총선으로 기억한다. 최씨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당시 YS가 신한국당을 창당하고 개혁 공천을 내세웠다. 대중적 인기가 높은 이회창·박찬종 씨를 앞세우고 홍준표(송파갑)·맹형규(송파을)·서상목(서초을) 등 유명하면서도 기존 정치인과 차별화되는 참신한 인사들을 강남에 대거 투입했는데 이게 먹혔다.”

김호기 연세대 사회학과 교수는 “강남 3구는 당시 대한민국에서 대졸, 화이트컬러, 중산층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정치의식도 높았던 지역이다. 독재나 권위주의뿐 아니라 기존 정치에 대한 반감과 새정치에 대한 열망이 강했는데 1996년 총선에서 여권이 이를 제대로 짚어냈다”고 설명했다. 물론 제1야당인 새정치국민회의도 추미애, 정동영, 김민석 같은 신진 인사들을 영입하며 전국적인 주목을 받았다. 하지만 이들은 이 선거에서 강북과 호남에서 출마했다. 최씨는 “이때부터 지금까지 강남에 출마하는 야권 후보들은 거의 처음 들어보는 사람들이다. 야당을 찍어주고 싶어도 딱히 찍어줄 만한 사람이 안 나온다”고 말했다.

선거구 조정으로 야권후보도 기대감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2010년 지방선거에서 25개 자치구 중 20개 자치구에서 패배했지만 강남 3구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얻으며 당선됐다. / 사진·중앙포토
이번 총선도 분위기는 크게 다르지 않다. 강남 3구의 7개 지역구마다 새누리당에서는 전·현직 의원들이 두세 명씩 출사표를 던지며 치열한 경쟁을 예고한 반면 더불어민주당에서는 강남을에 출마하는 전현희 전 의원을 제외하면 대부분 중량감이 떨어진다는 평이다. 더불어민주당 관계자도 “험지라는 이유로 출마를 꺼리다 보니 악순환이 반복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런 흐름은 언제까지 지속될까? 선거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20여 년간 철옹성 같았던 강남 3구의 장벽에 최근 미세하게나마 균열이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대표적인 사례가 2014년의 서울시장 선거다.

이 선거에서 박원순 후보는 56.1%의 득표율을 얻어 정몽준 새누리당 후보(43.0%)를 13.1%포인트 차로 누르고 당선됐는데 강남 3구에서의 선전이 주효했다는 것이다. 박 시장은 송파구에서 53.4%의 득표율을 올려 45.9%에 그친 정 후보보다 높은 득표율을 나타냈다. 강남구(45.0%)와 서초구(47.2%)에서도 선전했다는 평가를 얻었다. 이에 대해 강남구청의 한 관계자는 “강남좌파도 일부 영향을 미쳤겠지만 압구정동이나 청담동 등의 투표결과는 과거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며 “오히려 세곡동에 조성되고 있는 보금자리주택 등 서민대상 주거지 조성이 영향을 준 것 같다”고 말했다.

실제로 박 시장은 세곡동에서 5515표를 얻어 정 후보(4339표)보다 많은 득표를 했다. 하지만 2010년 치러진 지방 선거에서 세곡동 유권자는 한나라당 오세훈 후보(1363표)에게 한명숙 후보(791표)보다 많은 표를 던졌다. 세곡동은 4년 만에 유권자 수도 5배 가까이 늘어난 데다 뚜렷한 야권 성향을 보인 것이다.

이 같은 현상은 서초구에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보금자리주택단지가 입지한 우면동 투표소는 양재1동에 포함됐는데, 박 시장은 이곳에서 1만579표를 얻어 정 후보(8054표)를 크게 앞섰다. 양재1동은 지난 지방선거에서 오 후보(6091표)가 한 후보(4814표)보다 많은 득표를 했던 선거구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현재 진행형인 강남구의 자곡·세곡·율현동과 서초구 우면동의 보금자리주택 사업이 완료되면 야권 후보의 득표가 더 많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 때문에 일부 야권 인사는 현재 정치권에서 논의 중인 강남병 지역구가 신설될 경우 야권 인사도 승산이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새누리당의 한 시의원은 “안철수 국민의당 공동대표 등 중도적이고 합리적인 이미지를 갖춘 야권 후보가 나선다면 당선을 노려볼 만하다”고 말했다.

- 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

201603호 (2016.02.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