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포커스

Home>월간중앙>투데이 포커스

청년 구직자 절반은 ‘이곳’ 취업 원한다 

 

이화랑 월간중앙 인턴기자
■ 지난해 장기 실업자 절반은 2030… 공무원·대기업 선호 뚜렷
■ “노동시장 불안정성 피하려는 선택, 청년 보장 제도 마련 시급“


▎2021년 11월 4일 서울 강동구청 앞 잔디광장에서 열린 2021 강동 취업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공고 게시판을 보고 있다. 이날 취업박람회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행사장에 99명까지 입장을 제한했다. / 사진:연합뉴스
지난해 6개월 이상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장기 실업자의 절반가량이 2030 청년층으로 나타난 가운데 청년 구직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일자리는 공공기관 직원·공무원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불안정한 노동시장을 바라보는 청년 세대의 불안감이 반영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1월 24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등에 따르면 지난해 6개월 이상 구직활동을 했는데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실업자가 12만80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코로나19 확산 첫해인 2020년(11만8000명)보다 1만 명(8.1%) 늘어난 수치로, 2019년(-1만3000명), 2020년(-2만3000명) 2년 연속 감소했으나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것이다. 연령별로 보면 6개월 이상 장기 실업자 중 20대(3만7000명)와 30대(2만8000명)가 6만5000명으로 절반에 육박했다.

구직 기간이 1년 이상인 초장기 실업자도 1만3000명으로 전년(7000명)보다 6000명(86.8%) 늘면서 3년 만에 증가했다. 또 취업을 포기한 구직단념자도 62만8000명에 달해 관련 통계가 개편된 2014년 이후 연간 기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구직단념자는 취업을 희망하지만 적당한 일거리를 찾을 수 없을 것 같거나 교육·경험·나이 등 자격이 부족하다고 생각해 구직 활동을 쉬고 있는 사람을 말한다.

지난해 전체 실업자(103만7000명)는 전년보다 7만1000명 감소했고 실업률(3.7%)도 0.3%포인트 하락했지만 장기간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실업자는 오히려 늘어났다. 코로나19 여파로 고용시장이 위축되면서 청년층의 구직기간이 늘어났는데, 취업 실패가 반복되는 과정에서 아예 취업을 포기하는 사람이 많아진 것으로 해석된다.

청년층에서 장기 실업자가 늘어난 데는 ‘미스매치’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청년층이 주로 공무원·공공기관 직원 또는 대기업 취업을 선호하면서 중소기업을 기피하는 경향이 짙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지난해 12월 2∼8일 청년 구직자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청년 구직자 취업 인식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년 구직자의 절반 이상이 공공부문이나 대기업 취업을 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취업 희망 분야를 묻는 문항에 공공기관이나 공무원이라고 답한 비율이 36.8%로 가장 많았고, 대기업이 17.2%로 그 뒤를 이었다. 취업만 된다면 어디든 상관없다는 응답도 16.2%에 달했다.


▎위드 코로나 1단계 첫날이었던 2021년 11월 1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에서 열린 청년 채용박람회 행사장 입구에서 구직자들이 지원서를 작성하고 있다.
취업 절벽 내몰린 청년들… 국가적 지원책 마련 시급

이병훈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는 월간중앙 전화 통화에서 “대기업조차도 30~40대가 되면 평가나 실적에 따라 밀려나는 현실”이라며 “노동시장의 일자리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 안정적인 일자리로 대표적인 것이 공무원·공공기관 직원 등 ‘공’자가 들어가는 일자리다. 청년들로서는 ‘길게 가는’ 선택을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경력직을 선호하는 기업이 늘어난 것도 수급 불균형에 따른 청년 실업 원인으로 꼽힌다. 위 조사 결과를 보더라도 구직활동 시 어려움을 묻는 문항에 ‘인턴십, 실무경험 등 기회 부족’이라는 응답이 23.8%로 가장 많았다.

이 교수는 “최근 노동시장의 변화 중 하나가 기업들이 인턴 방식의 채용 등 경력자 우대 채용을 많이 하고 있는 것”이라며 “요즘 청년들은 과거에 비해 대학 졸업 후 (곧바로) 번듯한 일자리를 갖기가 힘들다 보니 인턴이나 중소기업 경력 등을 쌓고 있다. 일자리 기회는 청년들에게 굉장히 간절한 문제”라고 내다봤다.

전문가들은 일자리를 늘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일자리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에 대한 국가의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이 더 시급하다고 진단한다.

이 교수는 “과거서부터 근본적으로 청년 일자리 대책을 얘기해왔지만, 사실 일자리라는 것이 쉽게 만들어질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면서 “(청년 실업이) 청년들 개개인의 탓이라기보다 사회 구조적 문제인 만큼, 정부나 사회에서 청년들에게 계속적으로 투자하고 지원하는 ‘청년 보장’ 정책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이화랑 월간중앙 인턴기자 hwarang_lee@naver.com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