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agement

Home>포브스>Management

양선희의 ‘삼국지로 본 사람 경영’(2) 사마의(司馬懿) 

모욕도 모략도 웃어넘긴 ‘버티기’의 고수 

양선희 중앙일보 논설위원/ 『여류(余流) 삼국지』저자
조직에서 성공하고자 한다면 실력을 기르는 것보다 참는 기술, 감정을 얼굴에 싣지 않고 언제나 누구에게나 웃는 얼굴로 거절하지 않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최선이라 할 것이다. 사마의를 조명하는 이유다.

▎사마의의 인물평으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이 바로 이리처럼 돌아본다는 ‘낭고상(狼顧想)’이다. 이는 관상학적으로 반역의 징후가 있는 얼굴로 꼽힌다.
소설『余流삼국지』를 편작하면서, 그 숱한 영웅들 중에서 진심으로 깊이 감복하며 혀를 내둘렀던 인물이 바로 사마의였다. 난세에 몸을 일으켜 새로운 나라를 세운 조조와 유비는 어디 한 군데는 허술한 구석이 있어서 비집고 들어갈 틈이 있었지만, 사마의는 바늘 하나 꽂을 틈도 안 보일 정도로 빈틈없이 느껴졌다. 그래서 그런 사마의를 상대로 애쓰는 제갈량을 생각하면 가슴이 답답했다. 천하의 제갈량이 싸우지도 않고 버티기만 하는 사마의를 어째 보지 못하고 오장원에서 피를 토하고 죽는 장면을 쓰면서, 사마의가 왕조를 열지 못하면 하늘에 질서가 없음을 의심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조조의 신하였던 사마의는 쿠데타로 실권을 잡고, 그 손자인 사마염(司馬炎)이 마침내 조씨 왕조를 멸하고, 사마씨 왕조를 연다. 그는 무질서했던 난세가 정리되고 질서가 재편돼 있었던 시대에 찬탈의 기초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인 없는 난세에 땅을 차지하고 왕조를 열었던 조조와 유비보다도 한두 수는 위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찌 보면 조조·유비·손권과 그 휘하의 장수와 모사들이 치열하게 다투었던 것이 결국은 사마씨 집안에 땅을 바치기 위한 전초작업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사마의의 인물평으로 가장 많이 거론되는 것이 바로 이리처럼 돌아본다는 ‘낭고상(狼顧想)’이다. 이는 관상학적으로 반역의 징후가 있는 얼굴로 꼽힌다. 조조가 그의 관상을 보며 반역의 가능성을 의심하고, “사마의에게 병권을 주어서는 안 된다”고 했다는 말이 전해진다. 사마의는 신하였으나 결코 신하로 머물 인물이 아니었음을 조조는 일찌감치 간파했던 것이다.

진서(晉書)에는 사마의에 대해서 “겉으로는 너그러운체하고 싫어하는 사람에게도 싫은 내색을 하지 않았으며, 음흉하고 임기응변에 능했다”고 평한다.

사마의의 경쟁력은 수십 년 동안 신하의 위치에서 자신이 공을 세우고도 “이는 모두 폐하의 홍복이옵니다.”라며 낮은 자세로 모든 공을 군주에게 돌리면서, 본심을 숨기고 한 방을 노리며 질기게 참고 기다릴 줄 알았던 ‘포커페이스’와 ‘버티기’의 힘이었다. 사마의는 ‘스스로를 드러내지 않고 세상에 이름을 알리지 않는 데에 힘을 쓰라’는 노자의 가르침이 실전에서 활용할 때 얼마나 큰 힘을 낼 수 있는지 실천적으로 보여준 사람이다.

낮추고 참고 기다리다 드디어 기회가 왔을 때 쿠데타 한 방으로 권력을 잡고 황제를 넘어서는 막강한 2인자 자리를 꿰차고, 그의 아들 대에는 왕으로, 손자 대는 황제로 등극하여 전 왕조를 폐하고 죽은 후 황제로 추증된다. 그러나 그의 삶을 돌아보면, 2인자를 넘어 군주의 자리를 노리는 야심가의 삶이라는 게 아무나 흉내 낼 수 없는 만만찮은 내공이 필요한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낯 두꺼운 ‘포커페이스’ 경쟁력


▎가장 탁월한 조직의 인물은 능력이 있는지 없는지 감도 잡히지 않고 표정은 온화하고 속을 알 수 없는 인물들이다. 사진은 중국 드라마에 등장하는 사마의.
먼저 사마의의 낯 두꺼운 ‘포커페이스’경쟁력은, 뻔뻔함으로는 조조까지 치를 떨게 만들었던 당대의 최고수 유비를 앞서는 면모를 보인다. 유비는 때때로 이성을 잃고 불뚝불뚝 본성을 내보이곤 했다. 이는 유비가 한 무리를 이끄는 리더였다는 점에서 때로는 천사처럼 사는 고단함과 스트레스를 표출해도 달려들 사람이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사마의는 신하였다. 그러므로 포커페이스를 푸는 순간을 기다려 공격하려는 동료와 군주까지 줄을 지어 있으므로 결코 너그러운 체하는 표정을 풀 수 없었을 것이다. 이로 인해 본인은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았겠지만 이와 더불어 그 내공의 깊이는 측량할 수 없는 경지에 이르고, 이렇게 쌓인 경쟁력이 찬탈의 행위를 실행할 수 있는 바탕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사마의의 최고 경지인 포커페이스의 경쟁력은 ‘건괵지욕((巾幗之辱)’이라는 고사를 통해 결정판을 보여준다. 이는 제갈량이 오장원에 주둔하면서 사마의에게 군사를 보내 아무리 싸움을 걸어도 꿈쩍도 하지 않고 버티자 여인들이 상중에 쓰는 두건과 흰 상복을 함 속에 넣어 사마의에게 보냈다는 이야기다. 사마의는 제갈량이 보낸 함을 열어보니 여인네들의 상복과 서신이 있다. 서신의 내용은 이랬다.

중달(사마의의 자)이여! 위의 대장인 그대가 어찌 자웅을 겨루려 하지 않고 굴을 파고 들어앉아 지키며 칼과 화살을 피하려고 기를 쓰는가. 그대의 하는 양이 아녀자와 무엇이 다르다 하겠는가. 내 여기 여인네들의 상복을 보내니 싸우지 않으려면 두 번 절하고 이를 받고, 사내로서 부끄러운 마음이 남아 있다면 즉시 회답하여 기일을 정하고 싸움에 응하라.

이때 사마의의 반응은?

웃는다.

그러고는 수하들에게 태연하게 말한다.

“공명이 나를 아녀자라고 하는구나. 물건을 받아서 챙겨 두어라.”

그러고는 이를 가져온 사자에게 음식과 술을 내어 후하게 대접하며 제갈량의 건강과 식사량을 묻고 정보를 탐색한다.

정작 사마의는 잘 참고 있는데, 이 일에 모욕감을 느끼고 치를 떠는 것은 그 밑의 부하들이었다. 그래서 대장은 대장이고, 부하는 부하인 것이다. 부하들은 결국 사마의에게 찾아가 시위를 하며 “출전하여 촉과 한 판 붙자”고 닦달을 한다. 이런 부하들을 달래는 사마의의 재주도 신묘한 수준이다.

사마의는 “출전하여 싸우고 싶지만 황제가 지키라고 명했으니 출전할 수 없다”며 동오와의 싸움 때문에 합비에 원정 가 있는 황제에게 싸우게 해달라고 주청한다. 원래 ‘야전 사령관은 천리 밖에 있는 임금의 명도 어길 수 있는 것’이 군중의 원칙인데 이런 어처구니없는 일을 하면서도 부끄러움을 모른다.

표정은 온화하고 속을 알 수 없는 인물

이런 ‘포커페이스의 경쟁력’은 지금도 어느 조직에서나 잘 먹히는 능력이다. 대개 능력 있는 인물 중엔 말 많고, 불만 많고, 태도가 시건방져서 호감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이들은 중도에 낙마하는 게 다반사다. 능력 있는데 말까지 많고 호감을 주지 못하니 자신의 마음속을 들키고 동료들에게 공격할 빌미를 주게 되기 때문이다. 신하들끼리는 경쟁관계이므로 아무리 선량한 사람이라 할지라도 언제든 동료를 모략하고 음해할 준비가 돼 있다. 그러니 꼬투리가 잡히는 대로 불문곡직하고 그를 처단하게 된다.

하나 가장 탁월한 조직의 인물은 능력이 있는지 없는지 감도 잡히지 않고 표정은 온화하고 속을 알 수 없는 인물들이다. 이들은 태도도 좋아서 동료들에게 적개심을 일으키지 않고, 오히려 모든 동료들에게 그의 편인 척하여 안심시킨다. 그렇다 보니 동료들이 방심하고, 공격할 기회를 놓치는 사이 ‘인화’가 돋보이는 인물로 자리매김한다.

보통 이런 인물들은 주군에게도 늘 복종하는 태도와 적당히 아부하는 기법을 활용할 줄 안다. 군주의 본성 중 하나는 의심이어서 사람을 쓸 때도 주변의 평가를 세세히 챙긴다. 그런데 그는 태도는 공손하고 ‘인화’의 덕이 돋보이는 인물이라니, 안 쓸 이유가 없다. 그렇게 그들은 가랑비에 솜옷 젖듯이 스며들어 어느 순간 실력 있는 불평분자들을 다 솟구어내고 부쩍 커져서 높은 자리에 먼저 앉아 있을 수 있는 것이다.

조직에서 맑고 투명한 성정은 미덕이 아니다. 겉은 온화하나 속은 어두워서 결코 들키지 않는 것. 이종오 선생이 말한 『후흑학』에서 흑심(黑心)의 최고경지에 이른 이 상태가 최고의 생존 경쟁력이다.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은 손으로 눈을 가리고 있어서, 겉으로 드러나는 태도 외에는 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 제 눈에 보이지 않는 것까지 꿰뚫어보는 눈을 가진 능력자들은 많지 않다. 그래서 어느 조직이나 능력에 비해 과분한 자리에 오른 온화한 사람들이 넘친다. 그러니 조직에서 성공하고자 한다면 실력을 기르는 것보다 참는 기술, 감정을 얼굴에 싣지 않고 언제나 누구에게나 웃는 얼굴로 거절하지 않는, 그래서 되는 일도 없고 안 되는 일도 없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최선이라 할 것이다.

(다음호에 계속)

양선희 - 중앙일보 논설위원으로 매주 칼럼 ‘양선희의 시시각각’을 연재하는 중이다. 2011년 문예지를 통해 등단한 이래 소설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작품집으로 『여류(余流)삼국지』(메디치 미디어), 『카페 만우절』(나남) 『5월의 파리를 사랑해』(문예중앙) 등이 있다.

201609호 (2016.08.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