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nagement

Home>포브스>Management

김정웅의 무역이 바꾼 세계사(17) 유목민의 후예 진시황, 중국을 설계하다 

 

진시황은 벼락출세한 슈퍼스타가 아니었다. 진 제국의 성장 뒤에는 유목민족의 DNA, 그들과 접경했던 유목민들이 있었다.

▎채색이 다 날아가버리고 칼, 창, 도끼 등 무기가 다 털려버린 진시황의 병마용. 병마용의 군사들은 원래 손에 무기를 들고 있었는데, 한나라 시대 도굴꾼들이 들어와 불을 내고 무기를 모두 훔쳐가서 지금 남아있는 무기가 거의 없다.
2002년에 중국의 국민 감독 장이머우가 연출하고, 이연걸이 암살자 역으로 주연을 맡은 [영웅]이라는 영화를 보고 뭔가 어색한 느낌이 들었다. 어렸을 때 학교에서 진시황은 책을 불사르고 선비들을 생매장한 잔인한 폭군이라고 배웠는데, [영웅]에서는 진시황이 피폐한 춘추전국시대의 막을 내리는 선각자로서 자객 이연걸까지 감화하게 하는 포용력 있는 위대한 위인으로 그려졌다. 진시황이 왜 분서갱유를 자행했던 잔혹한 폭군에서 갑자기 멋지고 위대한 황제로 변했을까?

법가주의자인 진시황은 진 제국의 군현제 강행에 반대하고 봉건제 부활을 주장하는 유생들에게 격분해서 모든 책을 불태우고 유생들을 생매장한 분서갱유(焚書坑儒)를 일으켰다고 하는데, 후세의 학자들은 분서갱유라는 사건이 실제로 있었는지 의심한다. 유가의 책들은 그 당시 소실된 것이 많아 보이지만 다른 분야 대부분의 책은 소실된 흔적이 별로 발견되지 않았고, 유생 460명을 생매장했다는 갱유도 꾸며낸 이야기일 수 있다고 한다. 중국은 전통적으로 유가의 나라인데, 진나라 이후 여러 왕조의 유학자들이 자신들의 유교적 전통성을 내세우기 위해 고의로 진시황을 모함하고 깎아내렸을 것으로 보고 있다. 새롭게 떠오르는 중국의 사회주의 정권은 옛날 유학자들과는 전혀 다른 입장을 취한다. 위대한 중국 역사를 과시하고, 전통적· 유교적 가치관을 부정하면서 신중화주의를 부활하는 데는 진시황만한 선전 도구가 없는 것이다.

유목민 DNA로 일군 제국


▎진시황의 청동 마차.
마오쩌둥(毛澤東)은 문화대혁명 시절에 진시황을 중국 역사에서 가장 위대한 네 황제로 꼽으며 자신이 마르크스와 진시황을 합친 사람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필자 생각에는 향후 수십 년간 중국 정부의 주도로 진시황에 대한 긍정적인 재평가가 활발하게 일어나며, 2000년 넘도록 중국 유학자들이 진시황에 대해 만들어놓은 부정적 프레임들이 상당 부분 깨질 것 같다. 진시황의 잔인함을 설명하는 기록 중 상당수가 진실성을 의심받고 있고, 억지로 지어낸 듯한 흔적도 많다. 앞으로 몇십 년 뒤 중국 영화 속의 진시황은 혼란스러운 춘추전국시대를 끝내고 중국을 통일한 위대한 황제로, 중국이라는 시스템의 설계자로서 더 멋지고 위대한 영웅으로 그려질 것이다.

5000년 중국 역사에서 순수 농경 한족이 세운 나라는 한나라와 명나라, 송나라 정도이며 주나라, 진나라, 수나라, 당나라, 원나라, 청나라 등 대부분의 국가는 유목 DNA를 바탕으로 건국된 나라들이다. 특히 중국의 영토가 크게 확장된 때는 유목민족 출신이 세운 진, 당, 청나라 때인 것을 보면, 중화 민족을 주장하는 중국 사람들에게는 아이러니일 것이다. 진시황조차도 유목민인 ‘서융’의 후손으로 오랑캐 출신이라고 할 수 있고, 말을 잘 다루는 오랑캐 출신이기 때문에 북중국 통일이라는 위업을 이룰 수 있었을 것이다. 진나라는 자신들이 ‘순수한’ 한족이 아니라는 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유목민족들을 포섭하는 데 이용했을 것이다. 1974년 쥐옌(居延)에서 발견된 죽간에는 ‘진호(秦胡)’라는 구절이 있다. ‘진’은 중국인이요, ‘호’는 오랑캐인데 둘을 같이 쓴 이 낱말은 진나라에 포섭된 유목민족들을 의미한다. 진나라는 서북쪽 변방이라는 중원의 멸시를 문화교류의 거점으로 발달시키면서 극복했다.

진시황은 벼락출세한 슈퍼스타가 아니었다. 춘추전국시대에 초원지역과 접경한 중국 서북지역에서 강력한 국가를 만들어 오던 진 제국은 기원전 9세기 진비자(秦非子)부터 역사의 무대에 등장해 31대손 진시황이 북중국 평야를 통일할 때까지 600년 동안 내공을 차곡차곡 쌓아왔다. 진 제국의 성장 뒤에는 유목민족의 DNA, 그들과 접경했던 유목민들이 있었다. 실제로 중국 역사를 보면 명나라 주원장을 제외하고는 중국 남쪽에서부터 세력이 일어나서 북쪽을 통일한 적이 없었다. 초원지대의 말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아야 기병의 압도적인 전투력을 바탕으로 전쟁에서 이길 수 있었다. 항우와 유방이 자웅을 겨루는 『초한지』는 영웅 위주로 써놓은 소설이라 기병의 역할이 별로 두드러지지 않지만, 한나라 유방이 초나라 항우를 이길 수 있었던 결정적인 이유 중 하나도 관중지역을 근거를 삼고 초원지대에서 말과 기병을 지속적으로 공급받았기 때문이라고 본다.

진나라가 서북 변방의 소국에서 중원을 통일한 제국으로 성장한 이면에는 초원 민족인 서융(西戎)의 역할이 컸다. 전국시대 중원의 다른 나라들이 명분과 정통성을 내세울 때, 진나라는 이질적인 문화를 받아들여 시야를 넓히고 통일의 위업을 이루었다. 진의 발흥기에 대해 『사기』 권5 『진본기』에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날짐승을 잘 조련했으므로 순에게서 영의 성을 하사받았다. 말을 잘 다루며 명마를 헌상하여 주왕의 총애를 받았다. 주왕이 한수와 위수 사이의 지역에서 말을 담당하도록 했는데 잘 번식시켰다.… 영족은 말을 사육하는 능력이 뛰어나, 오랜 세월에 걸친 공헌을 칭찬하고 진이라는 읍(지금의 산시(陝西)성)을 주고, ‘진영’으로 부를 것을 허락했다.” 진의 토대가 된 ‘영족’은 오로지 말이나 가축의 사육에만 종사하는 보기 드문 무리였다. 진은 기원전 221년에 광대한 중원을 천하 통일함으로써 동아시아 최초의 세계 제국을 구축했다. 이는 진이 중국의 가장 서쪽에서 말을 사육하는 것을 전업으로 삼는 유목민으로서 기마 유목민과 접촉해 도움을 받았기 때문이 아닐까? 중국의 저명한 사학자 이중텐도 “진나라 사람들을 본래 서융이었을 것이다. 그들이 맨 처음 살던 지역(오늘날의 간쑤성 리현 동북부)은 견융(犬戎)과 마찬가지로 견구라 불렸고, 그들이 말을 잘 탄다는 이유로 ‘진’ 땅에 책봉됐다. 이는 진나라인이 본래 유목민이었으며, 그들의 봉토는 곧 주나라의 유목지역이었음을 보여준다”고 기술했다.

비교적 최근인 2009년에 발굴된 마가원 유적은 기원전 4~3세기대의 진나라, 서융 계통의 것으로, 그곳에서 나온 유물에는 스키타이계의 초원문화가 강하게 남아 있다. 특히 고도의 금 세공 기술인 누금세공 기법은 지중해 지역에서 처음 개발되어 유라시아 초원지대를 거쳐 시베리아 황금 유물로 이어졌으며, 나중에는 신라의 황금 유물에서도 사용된 기술이다. 중국의 여러 나라가 진나라를 욕한 것으로는 순장이라는 유목민들의 풍습도 있었다. 서융을 정벌한 진 목공(진시황의 400년 선조)도 정작 본인이 죽었을 때는 측근 신하 3명을 포함해서 186인을 순장했다고 하여 사가들의 비판을 받았다. 이런 순장 풍습은 전국시대 수많은 전쟁으로 인구가 줄어들자 진시황 때는 실물 크기 진흙 인형(테라코타)으로 대체됐고, 이후 유목적 전통이 강하지 않은 한나라 때는 30cm 크기의 작은 진흙 인형으로 바뀌었다.

‘하나의 중국’을 만들다


▎병마용의 키는 184~197cm 사이인데 생김새는 그대로 만들었지만 덩치는 더 크게 과장해서 만들었다.
진시황이 시도한 모든 정책은 결국 법가적 통치를 강력하게 실시하여 황제 중심의 일원적 지배체제 확립이라는 목표로 귀결된다. 법가는 토지를 많이 가진 귀족세력의 이해를 대변하는 유가 사상에 대비되는 사상이다. 아마추어 역사연구가가 볼 때 진나라가 법가를 택한 것은 진시황 가문의 유목적 DNA에서 나온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1400년 후의 팍스 몽골리아도 세금을 조금만 받아 백성들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국제무역으로 국가 운영에 필요한 재정을 확보했다. 몽골 귀족들은 글로벌 유통망을 장악한 위구르 상인, 페르시아 상인 등으로 만든 오르톡(ortoq)에 투자하여 큰 수익을 얻었기에 굳이 백성들에게 세금을 과하게 매길 필요가 없었다고 한다. 진시황이 대운하를 건설한 것은 국가 주도의 중상주의적 정책이었을 것이고, 염철(소금과 철)의 국가전매제를 실시한 것도 같은 맥락이었을 것이다. 이윤이 많이 남는 소금과 철을 나라에서 독점거래하면서 이전 시대보다 20배나 많은 이윤을 남겼다. 여기서 소금과 철의 전매로 남은 돈으로 군대를 양성하여 천하를 통일하고, 만리장성과 진시황릉을 지었을 것이다.

당시 로마제국도 생활필수품이면서도 금값에 버금가는 비싼 물품인 소금을 전매하며 부흥했는데 진나라는 여기에 철까지 전매하면서 더 융성할 수 있었다. 이는 요즘 KT&G(옛날 전매청)가 담배, 인삼을 팔아서 벌어들이는 돈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큰돈이었다. 그 시대 동서양의 양제국이 소금 전매제도를 통해 초기 국부를 형성한 것은 똑같았다. 진시황 때 진나라의 인구는 학자마다 의견이 다르지만 대략 3000만~4000만 명으로 추산된다. 수십 년간 수백만을 동원하여 진시황릉과 만리장성을 건설한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을 것이다. 혹시 만리장성이 진나라판 뉴딜 정책이 아니었을까? 감히 추측해본다.

진시황은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의 지독한 독종이자 천재 워커홀릭(workaholic)이었다. 무엇이 진시황 스스로를 그렇게 혹사하게 만들었을까? 13세 소년은 아버지의 사랑을 거의 받지 못한 채 왕이 되었으나, 어머니에겐 극도의 증오심을 품었다. 어머니의 정부이자 실세인 여불위를 늘 두려워하며 살았을 것이고, 문란한 어머니 때문에 여성에 대한 환멸을 갖게 되어 평생 정식 황후도 두지 않았다. 몇 차례 이어진 암살 기도는 주위 사람들을 믿지 못하게 만들었을 것이다. 청소년기의 그는 극도로 외로웠을 것이고, 오랜 시간을 홀로 번민하며 보냈을 것이다. 어지간한 사람들은 이런 수준의 압박이면 인생을 자포자기했을 텐데 진시황은 청소년기의 혹독한 시련을 이겨내면서 제국 건설이라는 야심을 품었다. 명재상 이사의 도움이 있기도 했지만 그는 이 시스템을 설계한 천재적 두뇌의 소유자이기도 하다. 29세에 통일 전쟁을 시작한 그는 39세에 제나라를 멸망시키고 천하 통일을 완수했다. 그리고 그는 국가적 통일성을 지향하기 위해 경제적 일원성을 적극 추진했다. 화폐를 통일하고, 전국시대(戰國時代) 국가별로 달랐던 길이, 부피, 무게 등 도량형을 통일했다. 또 각국의 한자를 오늘날 중국 한자의 원형인 소전체로 통일했다. 마지막으로 대규모 토목공사를 벌여 마차궤도를 통일한 도로와 운하를 만들고 만리장성을 축조했다. 지금의 시안 근처의 함양을 중심으로 여러 주요 지역을 잇는 총길이 7500km, 폭 약 70m의 간선도로가 정비되었으며, 이로써 마차의 차축 폭이 전국적으로 통일됐다.

운하 체계에 의해 생산되는 잉여 곡물에 일정 부분 의존했는데, 생산되는 곡물의 일정량은 세금으로 걷혀서 황실에 전달됐다. 진시황 때의 만리장성은 말이 뛰어넘지 못할 정도인 높이 2~3m에 불과했고, 명나라 때에 이르러 7~8m로 높아졌다. 만리장성은 외적의 침입을 막기 위한 목적도 있었겠지만, 농경문명권의 한계를 정하는 의미가 있었다. 만리장성이 이민족의 침략을 막는 데 도움이 된 적은 별로 없다. 진시황 때 만든 도로는 판축공법으로 만들어졌는데, 2200년이 지난 지금도 이 도로 위에는 나무가 자라지 않는다. 간선도로의 폭은 50m로 8차선인 경부고속도로(30m) 보다 넓었다. 천하 통일 후에는 이 시스템이 제대로 돌아가는지 확인하려고 엄청난 규모로 장기간에 걸쳐 제국 순시를 다녔다. 통일 후 죽기 전까지 13년간의 재위 기간 중 다섯 번에 걸쳐 거의 절반 가까이 장거리 순시를 다녔다.


※ 김정웅 대표는… 연세대 금속공학과를 졸업하고, 약 30년간 40여 개국 수백만 마일을 날아다니며 지구촌 구석구석에 수십억 달러를 사고팔아 온 무역 일꾼. 2000년 기업 간 전자상거래회사인 서플러스글로벌을 설립해 반도체 중고장비 분야 세계 1위 강소기업으로 성장시켰다. 2012년 발달장애인의 가족을 치유하고 지원하기 위하여 ‘함께웃는재단’을 설립하고 이사장을 맡아 사회공헌에도 힘쓰고 있다. 2019년부터 아시아 최초로 개최된 자폐전문 박람회 Austism Expo 조직위원장을 겸임하고 있다. 2015년 6월 ‘이달의 무역인상’ 수상, 10월 무역의 날 대통령상 수상, 2018년 9월 Forbes Asia 200대 유망 기업에 서플러스글로벌이 선정됐다. 2015년부터 매년 실크로드 현지답사와 연구를 통해 지난 5000여 년간 실크로드 유목민과 장사꾼들의 흥망성쇠와 인류 무역사를 공부하며, 인류 역사의 추동력을 위대한 영웅과 황제, 선지자들보다는 장사꾼의 입장에서 해석하고 있다.

202105호 (2021.04.23)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