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갈수록 힘 세지는 사적 정치우리나라 기업을 대상으로 이러한 사적 정치 운동이 조직된 사례도 종종 발생했다. 그린피스는 국내 종합상사가 2014년 이후 인도네시아에서 야자기름을 생산하기 위한 농장을 만드는 과정에서 열대우림을 파괴하고 원주민의 권리를 침해했다는 의혹을 여론화했다. 국제환경단체인 마이티어스와 섬오브어스도 동일한 의혹을 제기했다. 관련 인도네시아 기업과 합작투자를 계획한 국내 대기업에 압박을 가했고, 이 기업은 결국 합작투자 계획을 철회했다. 또 다른 사례도 있다. 그린피스는 우리나라 원양어선이 아프리카, 남미 어장에서 어로하면서 국제규범에 어긋나는 불법 어업을 했다는 점에 대해, 국내 원양어업체를 직접적으로 공격하는 대신 국제사회에 이슈를 부각했다. 한국 정부에 영향력을 행사할 목적이었다. 이로 인해 미국과 유럽연합이 우리나라에 제재를 가할 의사를 밝히자, 정부는 2015년 원양어업에 관한 법률을 전면적으로 개정하기에 이르렀다.사적 정치를 가능하게 한 밑바탕에는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이 놓여 있다. 인터넷을 이용한 사회·정치적 문제의 확산과 네트워크 조직은 실제 여론과 정책 결정 과정이 작동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다. 인터넷과 SNS 등 정보유통 채널이 발전함에 따라 특정 주제에 관심 있는 적극적 시민과 NGO가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게 됐다.기업은 이제 인터넷에서 숨을 곳이 없다. 비윤리적이거나 비사회적인 행위는 곧바로 폭로된다. 한마디로 기업은 대중 앞에서 거의 발가벗은 상태가 되었다. 우리 사회도 최근 카카오택시 관련 논의를 포함해 기업과 관련한 쟁점이 사회·정치적 수준으로 비화되는 여러 사례를 목도한 바 있다.그렇다면 기업은 이러한 환경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 필자가 제시한 비시장 전략 경영은 바로 이에 대한 해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해법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우선 기업이 활동하는 분야에서 사회·정치적 문제로 제기될 수 있는 상황을 점검하고 이에 관한 사전 조치를 취해야 한다. 물론 기업은 공공정책을 다루거나 사회운동을 하는 민간기구가 아니다. 그러므로 한정된 자원 범위 안에서 시장 전략과 비시장 전략을 결합해 통합된 경영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이렇게 시장 전략을 보완하고 비시장 외부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함으로써 경쟁우위를 유지할 수 있다.다음은 선제적인 쟁점 관리다. 비시장 전략을 수행할 때 기업을 둘러싼 쟁점 형성이 예상되거나, 새로운 트렌드가 기업 활동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면 선제적으로 이를 관리해나가야 한다. 쟁점 관리의 대표적 두 방식은 예상 이슈에 대한 경감 활동과 예방접종 활동이다. 쟁점에 대한 경감 활동은 사회적 쟁점이 되기 전에 기업 스스로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를 마련해서 이슈의 주도자로 나서는 방법이다. 또는 이슈에 대비한 활동을 기획해 기업시민으로서 사회적 역할을 공고히 하는 활동 등이다. 영국 석유회사 BP가 탄소가격제를 도입해 결국 탄소배출권이 제도화된 케이스가 전자에 속한다.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에너지 효율 개선 사업에 나선 석유협회는 후자를 대표하는 케이스다. 쟁점에 대한 예방접종은 발생 가능한 이슈가 새로운 이슈가 되어 온전히 기업의 책임이 되지 않게 사전에 정보 프레임을 구성하는 활동이다.기업을 둘러싼 환경이 급변하는 만큼, 기업도 비시장 외부 환경에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 아울러 시장과 비시장의 중첩적 영향이 커진 만큼 비시장 환경 속에서 시장을 보는 제3의 눈을 가져야 한다.
※ 이보형 - 리스크 진단과 대응 전략 개발, 이슈 및 위기관리 컨설팅, 퍼블릭 어페어즈 분야 전문가이자 마콜컨설팅그룹 사장. 지난 22년 동안 공공과 민간 영역의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해 전문성을 쌓아왔다. 2002년 국내 최초로 퍼블릭 어페어즈 서비스를 론칭해 수백 건의 성공 사례를 만들었다. 최근에는 마콜과 옥스퍼드대학이 공동으로 개발한 비시장 전략 경영 컨설팅에 기반한 시스템스 퍼블릭 어페어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