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북한.국제

Home>월간중앙>정치.사회.북한.국제

[특별기고] “특유의 평등의식·경쟁심이 타워팰리스형 수직적 차별화 불러” 

한국인 명품의식 문제없나? 

이재열_서울대 교수(사회학과·사회발전연구소장)
▶조선시대 양반사회의 사치와 방탕을 그려낸 영화 의 한 장면. 하지만 이러한 전통적 상류층 문화는 한국전쟁과 산업화를 거쳐오면서 허물어졌다.한국인의 명품 선호는 난데없는 것이 아니다. 졸부적 ‘과시소비’는 계층 간의 불투명성, 특유의 평등의식의 결과물이다. 상류층들의 ‘지위소비’에 이어 젊은이들의 ‘상징소비’까지…. 한 사회학자가 우리 사회의 명품 선호 현상을 통쾌하게 해석한다.남과 구별되는 취향이나 소비를 통해 자신의 지위를 드러내는 일은 예전이나 지금이나 변화가 없다. 제인 오스틴의 소설을 영화로 만든 에 등장하는 다르시나, 에서 남북전쟁 발발 이전 조지아 농장주의 딸인 스칼렛의 생활을 보면 귀족생활의 풍모가 잘 드러난다. 당대 최고의 장인들이 만들어낸 예술작품 같은 가구와 의상, 그리고 화려한 벽화로 가득 찬 저택은 보는 이의 입을 다물지 못하게 한다.



1920년대 미국에서 포디즘의 대두로 대표되는 대량생산체제가 대량소비사회를 열기 이전 전 세계의 주도적 생산체제는 다품종 소규모 주문생산이었고, 그 가장 큰 수요자는 상류층과 귀족층이었다. 18세기 프랑스 귀족사회의 사치와 방탕을 같은 시기 조선 ‘경화사족(京華士族)’의 색상으로 재현해 낸 이재용 감독의 을 보면 요부와 바람둥이만 통하는 것이 아니라 귀족 취향 면에서는 동서양이 서로 통함을 알 수 있다.

※ 해당 기사는 유료콘텐트로 [ 온라인 유료회원 ]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2406호 (2024.05.17)
목차보기
  • 금주의 베스트 기사
이전 1 / 2 다음